정부전산센터 보안 지침 따라 3개월 이상 미사용 계정 삭제
공직 사회의 유연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정부 기관에 도입된 원격근무 서비스의 이용자가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행정문화를 만들자는 1세대 ‘스마트 행정’의 취지가 무색해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
정부원격근무서비스는 가정이나 출장지에서도 전자적 행정업무를 어느 시간에서나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예컨대 결재와 문서공람, 전자우편 등을 통합해 지원하는 안전행정부의 업무 포털 서비스인 ‘하모니’를 직원 자택의 개인 컴퓨터에 설치해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형식이다. 시간과 장소와 무관하게 근무할 수 있도록 해 공직문화를 바꾸고 행정 업무의 생산성을 높이겠다는 것이 도입 배경이었다.
일선 공무원들은 대부분 시스템이 느린 원격근무 서비스 이용의 단점을 지적했다. 특히 정보유출 방지 등 보안 기능을 강화하며 이용자 수가 더욱 줄었다는 설명이다. 더불어 조직개편 등에 따라 부처의 기능이나 이름이 바뀌면 해당 시스템을 다시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이용을 번거롭게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예컨대 부처 이름만 바뀐 안행부도 과거 행정안전부 아래 시스템을 다시 바꿔야 했다.
안전행정부의 한 관계자는 “스마트워크센터의 활성화 등도 이용자가 줄어든 이유일 수 있다”고 말했다.
안석 기자 ccto@seoul.co.kr
2013-07-12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