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전지휘관’ 보직국장 조정업무 탁월
국무조정실은 상위 직급자가 많다. 서기관급 이상이 전체 직원의 32.4%. 세 명 가운데 한 명꼴이다. ‘간부 조직’의 야전지휘관인 보직 국장은 21명. 행정고시 28회부터 37회까지 폭넓게 포진해 있다. 다양한 조정 업무를 거쳐 시야가 넓다고 자부한다. 주축이 돼야 할 32회부터 34회까지의 보직 국장 대상자 6명이 교육과 고용휴직 등으로 우르르 빠져나가 ‘보직 국장 구인난’ 등 허리가 빈 게 약점이다.주요 현안을 점검하는 국정운영실 선임 국장 자리에는 최병환 기획총괄정책관이 버티고 있다. 업무 요구 수위가 높고 장악력이 센 완벽주의자다. 김황식 전 총리의 의전관 시절 ‘총리실 부총리’로 불렸다. “정무, 의전에 오래 있어 정책 경험이 적다”는 일부 평가를 뚫고 국조실 최고 요직 국장 자리를 따냈다. 강렬한 성취욕과 승부 근성에 종합적 분석력도 갖췄다는 평을 듣는다.
이련주 일반행정정책관은 지난 정부 때 새로 생긴 공적개발원조(ODA) 총괄 업무를 안착시켰다. 고위공무원 승진을 위한 재산 검증에서 일부 신고를 누락해 어려움도 겪었다. 고용휴직에서 돌아와 시차 적응 중이지만 업무 처리나 인품에서 손꼽히는 국조실 에이스 중 한 명이다.
백일현 개발협력정책관은 복잡한 사안을 깔끔하게 정리하는 능력과 섬세한 판단력이 돋보인다. 늘 티끌 하나 없이 정리된 책상, 사무실에서 보이는 업무 스타일과 성격이 때론 “약점으로 작용한다”는 지적도 있다. 기재부와 외교부의 갈등으로 삐걱거리는 ODA 업무의 정상화 과제를 안고 있다.
이창수 국장은 ‘공무원 같지 않은’ 열정과 아이디어를 지닌 일벌레다. 기후변화대책, 방송·통신 융합 등 다양한 업무를 하며 개인기를 인정받았다. 국정과제 평가·관리의 새 틀을 만들며 돌파력을 발휘하고 있다.
최창원 정책관은 훤칠한 외모에 배려와 매너로 평판 좋은 ‘미스터 국조실’이다. 침착한 현안 대처와 훈훈한 대인관계로 동료들에 앞서 왔다. 직원들을 감싸느라 윗사람에게 ‘충성심’을 의심받은 일도 있다. 안수영 국장은 기재부로 전출 갔다가 개방직으로 돌아와 경제 규제 조정의 틀을 새로 그리고 있다. 규제 조정에 저항하는 각 부처 간부들을 특유의 장악력과 아이디어로 몰아붙이며 네거티브 규제 조정의 범위를 넓히고 있다. 예전에도 ‘총리실 군기반장’이었다.
김원득 사회복지정책관은 ‘정책의 종말처리장’ 사회조정실 선임국장을 4년째 맡아 온 베테랑이다. ‘구슬이 서말’이란 별명처럼 사회갈등을 조정하는 데 경험이 많으며 일처리도 안정적이다. 신중하고 조심스러운 점이 상사들에게 오히려 강단 있는 이미지를 부각시키지 못해 손해 봤다는 평을 듣는다. 민지홍 정책관은 기획총괄과장, 정책관리과장 등 힘든 자리를 피하지 않고 제 역할을 하면서 업무 능력과 조직 기여도를 인정받았다.
임석규 제주특별자치도 정책관은 위암 수술을 받고 복귀해서도 흐트러지지 않는 업무 태도와 꼼꼼한 일처리로 귀감이 됐다. 이철우 총무기획관은 새 정부 들어 조직 개편 과정에서 국조실 위상을 지키고 직제 정비와 인사의 밑그림까지 떠맡느라 ‘고난의 행군’을 했다. 어눌하고 연약해 보이지만 소신 발언도 마다하지 않는 결기를 지닌 원칙주의자다.
세종 이석우 선임기자 jun88@seoul.co.kr
2013-08-01 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