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산림청에 따르면 전국에 산재한 휴양림을 대전에 있는 본소가 관리하면서 행정처리가 지연되는 등 비효율 문제가 심각했다. 휴양림관리소는 각 휴양림에서 이뤄지는 각종 공사 계약 및 관리뿐 아니라 물품구매까지 직접 시행하면서 업무가 증가한 반면 개별 휴양림의 역할은 미미했다.
현장에 사고나 민원이 발생해도 휴양림은 예산이나 권한이 없다 보니 즉각적인 대책 마련이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산림청은 권역별로 거점조직을 신설해 관리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사업팀은 서북·동북·동남·서남권 등 4곳에 설치된다. 당초 6개 권역을 추진했으나 안전행정부와의 논의 과정에서 축소된 것으로 알려졌다.
사업팀장은 소속기관장이 아닌 부서장 형태로 사무관(5급)이 맡는다. 조직개편에 따른 증원은 5급 3명이나, 권한이 축소되는 본소의 3개 과를 2개 과로 축소해 사업팀장으로 배정할 계획이다. 본소의 휴양경영과와 휴양시설과는 휴양사업과로 통합된다.
산림청 관계자는 “휴양림관리소의 조직개편은 현재 87명인 책임운영기관의 설치·운영에 관한 법률 시행령 개정이 필요하다”면서 “증원은 적지만 부서가 늘어나는 ‘조직 확대’의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13-08-16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