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달 13일부터 2단계 세종시 이전… 빈약한 인프라에 대책 부산
28일 세종시지원단 등에 따르면 정부는 주거란 해소를 위해 다음 달 임대아파트 680명분을 배정하고 주변지역 공공기관의 게스트하우스 등을 단기숙소로 쓸 수 있도록 했다. 또 전·월세 가격 폭등을 막기 위해 대중교통주택정보 상담을 확대하고 부동산 합동단속에도 들어갔다.
5000명 가까운 인원이 한꺼번에 몰려들지만 세종시 민간아파트 분양은 내년 상반기 이후에나 본격화된다.
이 때문에 세종시 및 주변 지역들의 집값은 ‘서울 시세’를 형성하고 있어 입주예정자들의 고통을 더하고 있다. 세종시와 붙어있는 대전 반석·노은 지역 아파트 30~25평대의 경우, 전세 물량은 거의 없고, 보증금 3000만~4000만원에 월세 70만~80만원을 호가하고 있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행복청)은 연말까지 2개 도로와 주변 지선도로의 추가 공사를 부랴부랴 진행하고 있다. 이미 정체 현상이 일어나는 출퇴근 시간에 주 간선도로를 통과하지 않고도 세종청사로 접근할 수 있는 우회도로로 교통량을 분산하겠다는 고육지책이다. 앞서 지난 9월 외곽에서 세종청사로 진입할 수 있는 우회도로 2개를 개통했다.
정부는 급한 대로 불을 끄면서도 잘못된 도시계획과 관련 정책을 근본적으로 재검토하기 위한 조치에도 들어갔다. 행복청은 최근 토지주택공사(LH)에 ‘교통수요 재분석 연구’에 대한 연구용역을 주어 내년 4월까지 교통수요를 재분석해 결과에 따라 추가 조치를 취하기로 했다. 잇따라 터지는 세종시 전체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개발계획 보완용역’을 통해 개선 방안을 마련해 나가기로 했다. 인구·주택계획·자족용지 적정성 등 도시계획 전반에 걸친 전면 재검토다.
주차문제를 풀기 위해 현재 1085면으로 계획돼 있는 2단계 청사의 주차시설을 1494면을 더 늘려 2578면으로 확대했다. 세종시기획단 관계자는 “당분간은 임시주차장을 넓혀나가면서 근본적인 문제해소를 위해 환승주차장, 주차타워 등을 이른 시일에 만들고, 중심행정타운에 복합민원센터 건립해 대규모 주차공간을 확보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한편 세종시는 높은 음식가격에 대해서는 계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정부청사 주변 음식점들의 가격은 전반적으로 서울 광화문과 강남의 음식가격을 웃돌고 있다.
세종시의 주거문제와 관련, 세종시 지원단 관계자는 “다음 달 청사 인근 민간아파트 1900세대를 비롯해 내년 상반기 2300세대, 하반기 1만 3800세대 등으로 내년까지 수요 부족이 완전히 해소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 이석우 선임기자 jun88@seoul.co.kr
2013-11-29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