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환 노원구청장 예비후보
“새로운 복지 정책과 환경문제 접근 등 새로운 구정 패러다임이 이어져야죠.”김 후보는 “4년 동안 때려 부숴 새로 짓고 길을 만드는 하드웨어보다는 우리 삶을 바꾸는 소프트웨어에 초점을 맞췄다”면서 “앞으로 4년은 소프트웨어를 안착시키고 새로운 하드웨어를 구축하는 시간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첫 번째로 창동차량기지 이전 부지 개발을 꼽았다. 그는 “당장 눈에 보이는 사탕발림에서 벗어나 100년 뒤 우리 2세들을 위한 개발이 돼야 한다”면서 “베드타운인 노원구를 주거와 일자리가 조화를 이루는 곳으로 가꾸는 데 전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다짐했다.
전국에서 처음 건립하는 에너지제로 하우스도 후대를 위해 꼭 이어져야 하는 사업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언젠가 다가올 화석연료 고갈에 대비, 에너지를 자급자족하는 주택이 꼭 필요하다”면서 “지하 1층~지상 7층의 공동주택 3개 동, 106가구 등 모두 122가구의 에너지제로 주택은 노원구의 상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자살예방과 서울과학관 등 막 자리를 잡은 각종 사업에 가속도를 붙여야 한다며 정책 연속성도 강조했다.
김 후보는 여야를 떠나 지역 발전을 이끌 후보를 선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요즘 수장(首長)이 누구인가에 따라 나라가, 지역이, 대형 사고 수습과정이 변할 수 있다는 것을 절실히 느끼고 있다”고 말끝을 맺었다.
한준규 기자 hihi@seoul.co.kr
2014-05-08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