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규성 성북구청장 예비후보
“종합적인 마스터플랜을 세워 성북구를 새롭게 디자인하겠습니다.”건축가로, 정보통신(IT) 전문가로, 대기업 계열사 최고경영자(CEO)로, 다양한 인생 경험을 하며 자수성가했다는 게 가장 큰 강점이라는 평가를 듣는다. 집안 형편이 여의치 않은 탓에 고향을 떠나 타 지역의 공고에 진학해야 했다. 하지만 학업의 끈을 놓지 않아 명지대 건축학과에 합격하는 기쁨을 누렸다. 대학 시절엔 사회 문제에 눈을 뜨며 총학생회장을 지냈다. 졸업 뒤 고건축과 철학을 결합해 건축 문화 운동에 뛰어들었지만 쓴맛을 봤다. 1990년대 초반부터 IT 산업으로 눈을 돌렸다. 국내에선 개념조차 낯설었던 소프트웨어 저작권 분야를 개척했다. 한국소프트웨어저작권협회 사무총장, 상근부회장을 역임하다가 2009년엔 KT엠하우스 사장으로 영입되기도 했다. 그는 “굴곡이 있는 삶을 살아왔기 때문에 구민들이 고민하는 문제에 대해 누구보다 더 공감하고 눈높이 행정을 펼칠 자신도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
공약은 크게 세 줄기다. 문화관광벨트 조성을 앞세웠다. 유입 유동인구를 늘리는 게 지역 활성화를 이끄는 지름길이라는 판단에서다. ‘점’으로 분산돼 있는 문화 관련 자원들을 사람 및 자전거 중심의 ‘선’으로 연결하고 ‘면’으로 펼쳐보겠단다. 교통체계를 가다듬어 지역 전체를 둘러보려면 1주일도 모자란 도시로 만들겠다는 이야기다.
두 번째로 따뜻한 자본이 흐르는 따뜻한 사회적 창조 경제를 실천하고 싶다고 했다. 상대적으로 사회적 경제가 활성화한 지역이기는 하나 문제점도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지역 상권을 해치지 않고 지역 사람이 함께 만들고 지역 사람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생태계를 만드는 게 목표다.
특히 정보통신기술(ICT)과 융합한 족집게 행정 서비스를 도입해 행정의 효율성을 끌어올리겠다고 약속했다. 그는 “빅데이터 시스템을 통해 성북을 새롭고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등 교육, 복지, 문화 등 각 분야의 적재적소에 행정과 예산이 투입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힘주어 말했다.
홍지민 기자 icarus@seoul.co.kr
2014-05-13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