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금 총액은 법정 기준을 넘어섰지만 지자체별로 재난관리기금 확보율은 편차가 컸다. 17개 시도 중 인천시의 확보율은 34%로 가장 낮았고, 광주시(36%)와 울산시(49%)가 뒤를 이었다. 대구시(53%)는 절반을 가까스로 넘겼다. 전국 227개 시·군·구도 사정은 비슷했다. 부천시가 46%로 확보율이 가장 저조했다. 수원시(53%), 광주 동구(55%), 광주 광산구(55%)는 50%대에 머물렀고, 고양시(81%)와 더불어 서울 영등포구(87%), 용인시(87%) 등도 재난관리기금을 제대로 확보하지 못했다. 재난관리기금 확보율이 미진한 시도는 총 6곳, 시·군·구는 총 24곳이다.
방재청은 재난관리기금 누적 확보율이 90% 미만인 지자체에 대해서는 올해 이후 기금 확보 계획을 방재청에 제출할 것을 요구할 계획이다. 방재청 관계자는 “기금 확보에 소극적인 지자체에는 소하천 정비 등 재해예방 사업 예산 지원과 자연재난 관련 평가 및 포상 등에서 불이익을 줄 예정”이라고 말했다.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2014-05-27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