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성 강북구청장 후보
“저도 관심 있게 지켜봤습니다. 젊은 정치인이 왔으니 어떻게 할지 궁금하기도 했고요. 미안한 말이지만 실망했습니다.” 김기성 새누리당 후보는 단호하게 말했다.“젊은 정치인이니까 참신한 아이디어를 내서 정력적으로 활동을 벌일 줄 알았는데 의외로 일을 잘못했다는 게 지역의 평가이고 저 역시 그리 생각합니다.” 무엇을 못했을까. 구체적인 발전 전략이 없다고 설명했다.
비책이 있을까. 강북구의 재정자립도는 20.4%에 불과하다. “그러니까 강한 개혁 드라이브가 필요합니다. 북한산 자락, 4·19 묘역, 둘레길 이걸 한데 합쳐 개발해야 합니다. 우이경전철과 우이령길도 뚫어 교통을 통하게 해야 사람이 오가고 돈이 거래됩니다. 수유·미아지구는 중심상업지구로 만들겠습니다.”
특히 우이동 광장과 삼양동 사거리를 눈여겨보고 있다. “지금은 지구단위계획 지역으로 묶여 있는데 그걸 해제하겠습니다. 해제해서 부도심 지역으로 도약시키겠습니다.”
또 하나 조심스럽게 꺼냈다. “인사와 관련해서도 약간의 잡음이 있는 것으로 압니다. 나빠서라기보다는 경험부족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제가 시의회 의장이었을 때 9급에서 시작해 5급으로 시작한, 가장 오래된 공무원을 비서실장으로 뒀습니다. 공무원 세계를 잘 아는, 흔히 말하는 ‘잔뼈가 굵은’ 사람을 데려다 쓴 것이지요. 마찬가지로 구청장이 된다면 공무원 세계를 가장 잘 아는 사람을 데려다 쓰겠습니다. 그들과 함께 일을 해 나가도록 애쓰겠습니다.”
지난 선거 뒤 어떻게 지냈을까. “솔직히 1년 반 정도는 억울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그 뒤엔 툭툭 털고 고려대, 성신여대 등에 강의를 나갔습니다. 시의회 의장 경험을 전수하기 위해서였는데, 사실 거기에서 제가 더 많이 배웠습니다. 자아를 버리고 봉사하는 자리라는 걸 다시 절감했습니다. 강북구는 형편이 어려운 사람도 많고 지역개발은 뒤처졌습니다. 이 두 가지 문제를 해결하려면 일머리를 풀어 나갈 줄 아는 사람이 꼭 필요하다고 봅니다.”
조태성 기자 cho1904@seoul.co.kr
2014-05-27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