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지명 부여 사업 ‘생색내기’ 비판
정부의 독도 주변 섬과 바위 등에 대한 새 지명 부여 사업이 생색내기용이란 비판이 일고 있다.7일 경북도에 따르면 정부는 2005년 광복 60주년을 기념해 독도 지명을 국가표준 명칭으로 새로 제정하는 사업을 추진했다. 지난 6일 독도 해역의 해저지형에 ‘강치초’라는 우리말 이름을 붙이고 공식 사용하기로 결정한 것도 이 같은 맥락이다. 앞서 2012년 10월에는 공식 명칭이 없었던 동도(해발 98.6m)와 서도(해발 168.5m) 등 봉우리 2곳의 명칭을 우산봉과 대한봉으로 새로 부여했다. 또 독도의 탱크바위 명칭을 ‘전차바위’로, 통키바위(일본어로 ‘기계장치’)를 ‘해녀바위’로 각각 바꿨다. 2006년엔 독도의 바위, 굴(窟), 봉우리, 골짜기 등 22곳에 대한 이름을 고시했다. ‘독도’ 명칭은 1961년, ‘동도’는 1961년, ‘서도’는 2000년에 고시됐다.
동도와 서도 등 2곳의 큰 섬과 88곳의 암초 및 바위 등으로 이뤄진 독도에서 지금까지 지명이 붙여진 것은 육상 29곳, 해저 11곳 등 모두 40곳이다. 정부와 경북도 등은 이 같은 지명 고시와 함께 국가기본도 및 각종 포털 사이트, 지도책과 교과서 등에 공식 사용하고 홍보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10년이 지난 현재까지 독도 출항 어민들뿐 아니라 관광서나 공식적인 표기 등에서도 새로 고시된 지명을 제대로 알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게다가 포털사이트 등에는 전차바위와 해녀바위가 종전 독도 경비대와 어민들 사이에서 불렸던 탱크바위와 통키바위로 통용되고 있고 심지어 일부 초·중·고 교과서조차 동도와 서도의 봉우리 명칭을 ‘대한봉’, ‘일출봉’, ‘첫섬’ 등 제각각 사용하면서 혼선을 초래하고 있다.
독도 해역 연안어장을 관리하는 도동어촌계 이영빈(59) 계장은 “정부 등이 독도 주변 섬과 바위 등에 새로운 명칭을 부여했다는 소식을 들었지만 내용이 무엇인지는 전혀 알지 못한다”면서 “어업인 집합 교육이나 어떤 행사에서도 관련 홍보가 없었다”고 주장했다. 독도수호대 김점구 대표는 “일본 정부는 독도에 대한 도발을 집요하고 구체적으로 전개하는 데 반해 우리 정부의 대응 전략은 그렇지 못하다”고 지적했다.
대구 김상화 기자 shkim@seoul.co.kr
2015-01-08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