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는 분명 당면문제를 해결하고 미래를 예측하여 불확실성을 감소시키는데 결정적 역할을 하는 요소임에 틀림없다.
|
경제학자 빌프레드 파레토는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의 80%는 주변에 이미 널려 있다’고 하였다. 우리 주변에 수많은 정보가 범람하고 있음을 단적으로 표현한 말이다. 그러나 누구나 접근이 가능한 공개정보 중에는 혼란스럽거나 무가치한 것이 많이 섞여 있어 이를 어떻게 취사선택 할 것인지가 정보생활의 최대 관건이 되고 있다. 내가 본 것, 내가 들은 것 그 자체를 대단한 정보인 양 과신하여 바로 행동에 옮기거나 다른 사람에게 전파하다가 망신한 사람의 수가 정보의 득을 본 사람의 수보다 많다. 정보는 ‘너무 가까이도 하지 말고 너무 멀리도 하지 마라’는 세속의 경험담이 정보의 속성과 형편을 잘 대변해 주고 있다.
이렇듯 정보의 오류와 함정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정보의 신뢰성을 높일 이중출처를 활용한다거나 사안별로 ‘그럴 수 있다’고 볼 수 있는 상상력과 함께 ‘그럴 수 있느냐’하는 의구심을 균형있게 가질 수 있는 뛰어난 통찰력이 요구된다. 이를 놓고 볼때 최근의 소위 ‘십상시 문건’ 파문은 첩보수집 또는 정보생산 과정에서 유지되어야 할 상상력과 의구심 간의 균형이 깨진 데서 초래된 정보 참사로 여겨진다. 이 정보보고서를 작성하거나 사용한 그들은 베테랑 정보맨들이었지만 ‘균형감각을 잃은 정보의 위태성’을 간과한 것으로 보인다. 정보의 생명이 보안이라면, 정보의 가치는 균형에서 나온다는 말은 정보활동을 제대로해 본 사람이라면 실감하고 있다.. 미국ㆍ영국 등 일부 선진국에서는 정치ㆍ사회적 중요 쟁점이 있을때 정보의 평형(平衡) 유지를 위해 국가기관 스스로가 사립탐정(민간조사원)에게 민심이나 특정정보의 수집을 의뢰 하여 비교ㆍ보완 하기도 한다는 간절함은 우리에게 시사 하는 바 크다.
유달리 크고 작은 정보사고가 많았던 2014년을 회고하는 시민과 공직사회 주변에서는 부정확한 정보의 폐해를 빗대어 ‘무정보 상팔자(無情報 上八子)’라는 말까지 회자되고 있다. 이는 밤길에 네온사인 번쩍이듯 난무하는 과장정보나 허위정보, 역정보, 실기(失期)정보 등에 현혹되어 세상을 시끄럽게 했거나 그러한 유형의 일에 연루되어 조직에 누를 끼치는 등 창창하던 앞길을 망친 사람들을 바라보는 뼈아픈 교훈의 말 이다. 차라리 정보가 없었으면 팔자가 좋았을 텐데, 차라리 정보를 몰랐으면 편히 살 수 있었을 텐데 하는 후회와 탄식이 그것 이다.
그렇다 하여 정보를 외면하고는 하루도 살기 어려운 것이 오늘의 세상이다. ‘정보폭발의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는 정보의 양(量)이 아닌 질(質)과의 싸움에 직면해 있다는 것을 한시라도 잊어서는 않된다. 특히 오늘날 정보맨들은 정보선택의 문제와 함께 정보의 균형감각 유지 역량을 시험받고 있다. 정보는 선택과 균형의 적정 여부에 따라 보약이 될 수도, 독약이 될 수도 있음을 지난해 두눈으로 똑똑히 보아 왔다. 누구든 정보를 탓할 것이 아니라 ‘잘못 아는 것 보다 모르는 것이 차라리 낫다’는 현명한 정보관(情報觀)의 재정립이 필요한 시대임을 특히 말하고 싶다.
===========================================================
※‘자정고 발언대’는 필자들이 보내 온 내용을 그대로 전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따라서 글의 내용은 서울신문의 편집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글의 내용에 대한 권한 및 책임은 서울신문이 아닌, 필자 개인에게 있습니다. 필자의 직업, 학력 등은 서울신문에서 별도의 검증을 거치지 않고 보내온 그대로 싣습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