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 있는 정치인 출신 입각 통일 정책 탄력 받았으면” 류길재 장관 교체설에 “큰 과오 없는데…” 불만도
|
●“새 장관이 부서 권위 회복했으면…”
남북 당국 간 회담이 재개될 경우 이를 주도적으로 이끌어야 할 통일부로서는 부서의 수장이 교체될 경우 한동안 시행착오를 또 겪어야 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일부에서는 차라리 류길재 장관이 교체된다면 관료나 학자 출신보다 힘 있는 정치인이 입각해 통일 정책을 주도적으로 이끌어나갔으면 하는 바람도 나오고 있다.
통일부의 이런 분위기는 올해가 광복·분단 70주년이라는 상징적인 해로 정부가 남북관계 진전을 위한 대화 요구를 북한이 이에 응하지 않기 때문이다. 남북관계 개선을 위해서는 정권 차원의 결단이 필요한 시점인데 누구보다도 대통령의 뜻을 잘 아는 중량급 정치인이 장관으로 올 경우 상당한 추진력을 받을 수 있다. 이런 분위기는 2008년 이명박 정부 출범과 동시에 부가 없어질 뻔한 상황에서 상당수의 남북관계 업무를 외교부에 빼앗기면서 힘 있는 새 장관이 부서의 권위를 다시 되찾아 주기를 바라는 측면도 반영됐다.
실제로 통일부와 달리 외교부는 19대 국회에서만도 2명의 국회의원을 배출했다. 또 개각설이 불거질 때마나 관련 인사들이 외교부 장관 후보자로 거론되는 등 실세부서로서 부러움을 한몸에 받고 있다. 반면 통일부의 경우 통일부 출신 정치인이 씨가 마른 상태다. 1998년 국토통일원에서 통일부로 개편된 지금까지 국회의원을 한명도 배출하지 못했다.
●“외교부처럼 국회의원 배출해야”
정치인은 아니지만 통일부 차관을 역임했던 조건식 현대아산 사장이 통일부 출신으로 유일하게 ‘이모작’을 하고 있을 정도로 대외활동의 씨가 말랐다. 이를 두고 통일부 안팎에서는 ‘오직 공직에만 충실하는 진정한 공무원’이란 자찬과 ‘순진해서’라는 자조 섞인 탄식이 교차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박근혜 정부 출범 후 산업통상자원부, 농림축산식품부, 외교부, 법무부, 환경부 장관 등이 모두 장수하는 상황에서 ‘공’(功)도 없지만 ‘대과’(大過)도 없는 통일부 장관만 개각 대상으로 거론되는 것에 대해 이해할 수 없다는 불만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문경근 기자 mk5227@seoul.co.kr
2015-01-29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