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업체 달라 호환 안돼 불편…4월부터 공용시스템으로 개선
“장소만 다를 뿐이지 같은 정부청사인데, 서울청사엘 가면 출입증을 쓸 수 없어요.”
|
출입증 호환이 되지 않아 다른 외부인처럼 까다로운 절차를 밟아야 하기 때문이다. 후문 쪽 안내실을 찾아가 방문 부서 공무원을 불러 대동한 뒤 방문증을 받아 함께 건물로 들어가야 한다. 가방 등 수하물이 있으면 검색대도 거쳐야 한다.
건물을 빠져나갈 때도 공무원을 대동해야 한다. 혼자 나섰다간 방호원에게 가로막히고 만다.
이처럼 호환이 불가능한 것은 출입자 인식 시스템을 설치한 업체가 달라서다. 그런데 올해 본격화한 ‘세종청사 시대’를 맞아 이러한 불편을 호소하는 사례가 늘자 행정자치부에서 대안을 내놨다. 정종섭 장관의 지시까지 떨어진 터다.
정부는 2012년 서울청사에 지금과 같은 보안장치를 갖췄다. 동시 경비인력도 20명에서 곱절로 늘렸다.
일요일이던 그해 10월 14일, 당시 18층 교육과학기술부 사무실에서 가짜 신분증으로 침입한 김모(61)씨가 불을 지르고 뛰어내려 숨지자 마련한 대책이다.
대신 1970년 지어진 이후 붙었던 중앙청사라는 이름을 현재처럼 바꿨다. 국민들에게 위화감을 준다는 이유에서다.
송한수 기자 onekor@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