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 와세다대학에서 특강 “역사 되풀이 않게 현실 직시를”
“한국과 일본은 현실을 직시하고 과거를 진심으로 성찰해야 합니다. 미래를 향한 공동의 비전과 방향을 설정해 앞으로 나아가야 합니다.”박 시장은 2차 세계대전 피해자에 대한 도의적 배상과 치유를 펼치는 독일의 사례를 소개했다.
그는 “독일 정부와 기업은 2000년 2차 대전 전시 피해자 배상을 위해 100억 마르크라는 기금을 마련해 ‘기억, 책임, 그리고 미래 재단’을 설립했다”며 상처의 치유 없는 화해는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고령화, 저출산, 청년실업, 도시재생 등 한국과 일본이 공통으로 갖고 있는 문제를 지적하며 도시외교를 통한 양국의 협력 필요성을 제시했다.
박 시장은 “21세기는 로컬 투 로컬, 피플 투 피플의 시대”라며 “국가를 넘는 작은 실천들이 모이면 국가가 풀지 못했던 문제를 해결할 단초를 찾을 수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서울, 도쿄, 베이징 등 3개 도시 협력체계인 ‘새로운 베세토’ 트라이앵글 구축을 제안했다. 박 시장은 특강 후 토크 콘서트 형식으로 참석자들과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다.
도쿄 홍혜정 기자 jukebox@seoul.co.kr
2015-02-04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