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로 야간에 발생한 보행자 사고의 상당수는 운전자의 눈에 잘 띄지 않는 어두운 계열의 옷을 착용한 경우가 많다. 여기에 비가 오거나 안개가 낀 날, 날이 어두운 경우는 더욱 위험한 상화에 직면할 수도 있다. 공인기관의 실험에서도 야간에 시속 60㎞로 자동차를 주행할 경우 흰색은 50m, 노란색은 45m, 빨간색은 35m, 파란색은 28m, 검정색은 18m 지점에 이르러서야 형체 식별이 가능해 브레이크 조작이 가능하다고 한다. 자동차 전조등이 비추는 거리와 범위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옷 색깔이 생사를 결정할 수도 있다는 말이다.
특히 해가 진 저녁부터 다음 날 새벽 사이는 야간 보행이 상당히 위험하다. 아차 하는 순간 사고는 발생한다. 무엇보다 야간 운전 시 운전자의 시인성이 감소해 돌발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줄어들기 때문에 규정속도보다 감속운행을 하는 것이 상책이며 보행자 또한 어둡고 인도가 없는 밤길을 걸을 때는 반드시 밝은색 계열의 옷을 착용하여 운전자들에게 자신의 존재를 알려야 한다.
더불어 가방이나 신발도 밝은 색상의 제품을 사용하는 현명한 자세가 요구된다. 지자체 또한 가로등 설치, 보도와 차도 분리 등 정책적 고려도 필요하다. 야간 보행 시 치사율은 주간보다 훨씬 높은 만큼 간단한 안전수칙만 준수해도 교통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는 사실을 잊지말자.
==========================================================
※‘자정고 발언대’는 필자들이 보내 온 내용을 그대로 전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따라서 글의 내용은 서울신문의 편집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글의 내용에 대한 권한 및 책임은 서울신문이 아닌, 필자 개인에게 있습니다. 필자의 직업, 학력 등은 서울신문에서 별도의 검증을 거치지 않고 보내온 그대로 싣습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