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 대선토론회에서 국민연금에 대한 질문이 나오자 당시 이회창 한나라당 후보가 한 말이다. 이 후보가 ‘국민연금 지급액 삭감’을 주장하자 반대편의 노무현 민주당 후보는 “모자랄 때는 세금에서 맞춰 가면 된다”고 반박했다. 토론회가 끝나고 한나라당 쪽에선 노인 표 날아가는 소리가 ‘후두두’ 들렸다고 할 정도로 비상이 걸렸다. 연금 잘못 건드리면 어떻게 되는지에 대한 교훈을 단단히 얻었던 셈이다.
연금 건드리다 낭패를 본 사례는 참여정부도 마찬가지였다. 9%의 보험료율(내는 돈)을 12.9%까지 인상하려 했지만 여론의 반대에 부딪혔다. 참여정부는 결국 보험료율을 동결하고 소득대체율도 40%로 하향조정했다. 내각제 국가에선 정권 내놓을 각오하고 하는 게 연금개혁이란 말을 당시 참여정부는 실감했다.
“2007년 국민연금 프레임을 극복할 수 있는가.”
국민연금을 둘러싼 정국은 어떻게 흘러갈까. 당장 야당이 소득대체율 50%를 주장하면 여당은 “결국은 국민 세금 올리자는 말”이라며 반박할 것이다. “소득대체율을 낮춘 건 문재인 대표가 비서실장이던 참여정부”라고 말할 수도 있겠다. 야당은 어떻게 대응할 수 있을까.
이회창 후보의 말을 빌려 “보험료율을 안 올린다고 하면 정직하지 못하다”고 할 수도 있겠지만, 여론은 더 악화될지 모른다. 야당의 핵심 지지층이야 복지를 위해 더 많이 부담할 수 있겠지만, 중도층과 중산층들이라면 쉽게 동의할 리가 없기 때문이다.
전략, ‘네이밍’ 등이 주도면밀하지 않으면 향후 전망은 낙관적이지 않다고 보는 이들이 적지 않다. 야당은 2007년의 실패를 극복할 수 있을까.
sartori@seoul.co.kr
2015-05-09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