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기·수원, 6일 ‘정조 능행차’ 공동 재현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가락시장 남북 측에 ‘가로공원’ 신설… 힐링 산책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영등포동 공공복합센터 개관… 행정 넘어 복지·문화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용산에 오면 13개 국어 동시통역 ‘터치’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가뭄 비상> 함안보 등 낙동강 곳곳 녹조…남조류 ‘경보음’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대구 공산댐 녹조 심화…올 들어 경보제 발령은 함안보 한 곳강물 대량 방류해 녹조현상 해소 시도

연일 계속되는 가뭄과 고온 탓에 낙동강 곳곳에서 녹조가 관찰되고 있다. 특히 상류를 중심으로 남조류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16일 환경부에 따르면 낙동강 하류인 창녕함안보 인근의 수질을 지난 8일 측정한 결과, 클로로필-a가 ㎥당 30.5㎎, 남조류 개체 수는 ㎖당 3천988개가 나왔다.

그에 앞선 이달 1일 측정에서는 클로로필-a가 32.5㎎, 남조류가 838개가 검출됐다. 지난달 26일에는 클로로필-a 66.0㎎·남조류 938개가 나왔다. 창녕함안보에는 이달 2일 ‘출현알림’(조류주의보)이 발령됐다.

환경부는 매주 전국 주요 하천의 수질을 분석한다. 2회 이상 채취했을 때 연속해서 클로로필-a 농도가 ㎥당 15㎎ 이상이고 남조류 세포 수가 ㎖당 500개 이상이면 출현알림이 내려진다. 클로로필-a와 남조류 수치가 25㎎ 이상·5천개 이상이면 ‘조류경보’를, 100㎎ 이상·100만개 이상이면 ‘조류대발생’을 각각 발령한다.

환경부는 매주 월요일 물을 뜨고 분석 과정을 거쳐 금요일에 공개한다.

낙동강 상류인 상주보에선 지난 8일 클로로필-a가 13.3㎎, 남조류가 2천287개가 나왔다. 그에 앞선 4일 측정에서는 클로로필-a가 14.7㎎, 남조류가 2만4천989개나 검출됐다. 1일에는 클로로필-a 29.3㎎·남조류 3만6천873개, 지난달 26일에는 클로로필-a 37.9㎎, 남조류 2천342개가 각각 나왔다.

낙단보의 경우 8일 측정치가 클로로필-a 14.1㎎, 남조류 372개가 검출됐다. 4일에는 클로로필-a 8.5㎎·남조류 1만1천77개, 1일 측정에선 클로로필-a 20.7㎎·남조류 1만927개, 지난달 26일엔 클로로필-a 20.4㎎·남조류 922개가 각각 발견됐다.

합천창녕보도 클로로필-a와 남조류 측정치가 8일 16.0㎎·7천651개, 1일 15.6㎎·833개, 지난달 26일 18.1㎎·687개가 각각 관찰됐다.

금강 수계인 죽산보의 경우 8일 측정치가 클로로필-a 72.7㎎·남조류 1천350개가, 직전인 2일에는 클로로필-a 50.7㎎·남조류 975개가 각각 검출됐다.

상주보와 낙단보, 합천창녕보 모두 지난달 26일과 이달 1일 측정치에서 2회 연속으로 기준을 넘겼기 때문에 ‘조류주의보’ 발령 수준이다.

죽산보 역시 8일 측정치에서 경보제 발령 수준인 2회 연속 기준을 넘겼다. 하지만 이들 보에는 조류주의보가 발령되지 않았다. 조류경보제가 적용되는 곳은 댐이 있는 호소, 보 중에서는 칠곡보·강정고령보·창녕함안보 3곳이기 때문이다. 취수원으로 쓰이는 수계만 경보제 대상이다.

하지만 낙동강을 중심으로 녹조 현상이 광범위하게 퍼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나마 상주보와 낙단보는 최근 조금 나아진 수치를 보이고 있다.

취수원으로 쓰이는 주요 하천 댐에는 아직 경보제가 발령될 수준으로 수질이 악화하지 않았다. 하지만 대구 공산댐의 경우 악화 조짐을 보이고 있다.

공산댐의 8일 측정치는 취수탑 1지점에서는 클로로필-a 67.9㎎·남조류 530개가 검출됐고, 취수탑 2지점에선 클로로필-a 139.8㎎·남조류 1천750개가 나왔다. 다음번 측정에서도 이 정도 수치를 기록하면 ‘조류주의보’를 발령해야 한다.

이 밖에도 주요 강에는 클로로필-a와 남조류가 조류경보제 기준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녹조가 꾸준히 관찰되고 있다.

환경부 관계자는 “조류주의보 등이 발령되지 않았다고 녹조현상이 없다는 건 아니다”라며 “엽록소인 클로로필-a 등은 언제라도 물에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환경부는 지속된 가뭄으로 물의 정체가 심해졌고, 수온 상승으로 인한 용존산소 고갈 등으로 일부 수역에 여름철 녹조 대발생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정체 구간이 많은 낙동강 중류(고령보∼함안보)를 시작으로 7∼8월에는 4대강 주요 수계에서 유해남조류 개체 수가 최고조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부산지방국토관리청은 낙동강 녹조를 줄이기 위해 6월부터 9월까지 강정고령보, 달성보, 합천·창녕보, 창녕·함안보 등 낙동강 4개 보에 펄스(Pulse)형 방류를 하기로 했다.

이는 평소 일정한 물을 보내던 방식과 달리 녹조가 발생하면 특정한 날에 한꺼번에 많은 물을 방류해 조류 성장을 억제하는 것을 가리킨다.

연합뉴스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