삭막한 지하공간? 희망찬 꿈의공간!
“심심하면 아파트 지하실에 내려와 느타리버섯을 돌보는데 내 자식 같아요. 내일 첫 수확을 해 주민들에게 나누어줄 생각을 하면 설레요.”그간 아파트 옥상 등을 이용한 도시농업은 많았지만 지하실을 농장으로 바꾼 예는 서울시에서 처음이다. 재배에는 19명의 주민이 참여하고 있다. 향후 재배한 버섯을 노인정 등 소외계층에 제공하는 한편 판매 루트도 찾아볼 계획이다. 구는 노루궁둥이버섯, 검은비닐버섯 등도 테스트하면서 판매용 상품을 출하하는 지하 버섯공장이 가능한 지도 타진하고 있다.
구는 다양한 방식으로 지하 공간 활용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구에는 80년대에 지은 아파트가 많은데, 방공호용으로 지은 지하 공간이 방치돼 있는 상태다. 일부 주민은 이곳이 우범지역으로 바뀔까 우려한다. 또 마트가 등장하면서 아파트 상가의 지하 공간에서 장사를 하던 이들이 나가기 시작했는데 구는 이곳에 공공교육기관을 만드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구가 지난해 3월에 문을 연 하계동 장미아파트 지하상가 ‘수(手)공방’에는 이날도 많은 주부들이 아동복 만들기, 토피어리, 냅킨공예 등 수업을 하고 있었다. 아이의 후드티를 만들던 최모(40·여)씨는 “3명의 아이들 모두 엄마가 직접 만든 옷을 좋아해서 지금은 엘사를 좋아하는 막내딸의 옷을 만들고 있다”면서 “아파트 지하가 배움터로 바뀌면서 상가의 다른 상점들도 활기를 띠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곳은 그간 746명의 수료생을 배출했다. 민간 교육기관보다 수강료가 저렴한데, 구가 임대가 안 돼 방치된 지하상가를 SH공사로부터 무료로 임대했기 때문이다.
중계동 중계그린아파트 지하상가의 자기주도학습센터에서는 학부모들이 신문을 이용한 교육법에 대해 강의를 듣고 있었다. 이곳은 지난달 22일에 문을 열었으며 역사논술, 자기주도학습코칭, 창의수학놀이교실 등을 무료로 운영하고 있다. 김성환 구청장은 “지하상가의 경우 예전처럼 상업적으로 활용하기는 어렵지만 공공적인 공간으로 활용하면 상권 활성화와 주민의 여가 기회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글 사진 이경주 기자 kdlrudwn@seoul.co.kr
2015-06-24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