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우수 책임운영기관 9곳 선정
지난해 4월 세월호 참사 피해자 가족들은 물론 위험하기로 세계적으로 악명을 떨친 사고 해역에서 활동하는 구조잠수사, 소방공무원은 남모르는 정신적 고통에 시달리고 있었다. 전남 국립나주병원은 진도 팽목항을 무대로 정신건강 심리를 안정시키도록 돕는 활동을 벌여 650여명에게 도움을 건넸다.
쿠바에서 지난 3월 한국 땅을 밟은 마리즈벨 베르데무즈(19)는 드라마 ‘꽃보다 남자’를 시청한 뒤 한국에 흠뻑 빠졌다며 웃는다. 그는 한국어를 짬짬이 익혔다. 마침내 지난해 4월 19일 수도 아바나에서 한국어능력시험(TOPIK)을 치러 좋은 성적을 거뒀다. 이어 초청 장학생 자격으로 남서울대학교에서 한국어를 본격적으로 배우고 있다.
국립 춘천병원도 남모를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에 시달리는 도내 소방공무원에 대한 정신건강 및 위기개입을 통한 정신건강 증진 서비스 제공으로 만족도를 한층 끌어올렸다는 평가를 받았다.
행정자치부는 지난해 우수한 경영 성과를 일군 책임운영기관 9곳을 선정했다고 19일 밝혔다. 책임운영기관이란 정부 사무 중 경쟁원리에 따라 운영하는 게 바람직하거나 전문성을 살리기에 좋은 경우 행정·재정상 자율성을 부여하고 책임을 지게 하는 제도다. 현재 39개 기관이 선정돼 있다.
최우수 기관엔 산지양계 모델을 개발한 국립산림과학원, TOPIK 시행으로 국가 위상을 높인 국립국제교육원, 국립 나주·춘천병원, 지방자치단체 통계 컨설팅으로 지역 발전의 바탕을 마련한 경인지방통계청이 꼽혔다.
우수 기관으론 소외계층 청소년에게 놀이 및 체험학습 위주로 올바른 경제관과 합리적 의사결정 능력을 기르는 통계교실을 개최한 충청지방통계청, 전자기 유도 현상을 중심으로 과학발전의 맥락을 이해할 수 있는 전시물을 개발한 국립과천과학관, 서울 강북구보건소 및 강북지역 자활센터와의 협력을 통해 저소득 장애인에게 재활치료·돌봄 서비스를 제공한 국립재활원, 생애주기·대상별 맞춤 치유 프로그램 운영으로 모범을 보인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가 선정됐다.
송한수 기자 onekor@seoul.co.kr
2015-07-20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