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환자의료이용지도’ 구축… 건강보험·공간 빅데이터 융합
공단의 건강보험 빅데이터와 국토부의 공간정보 빅데이터를 융합한 지도로 의료이용 실태·의료자원 배치 현황·거점병원·의료취약지 등 지역 특성을 고려한 보건의료정책 수립에 필요한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다.
지금은 환자의 수도권 및 대형 병원 쏠림현상, 의료기관 경쟁 심화 등 지역 간 비효율적인 의료자원 배분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지만 행정구역 단위 의료이용 분석만 이뤄져 실제 의료이용 상황을 반영하는 데 한계가 따르고 있다. 데이터가 구축되면 환자의 특성(연령·성별·사는 곳)과 이용 의료기관(병원 규모·위치)을 공간과 연계, 세밀하게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공단이 보유한 보험료·진료내역·의료기관 정보 등이 공간정보와 결합돼 한눈에 볼 수 있게 되고 공간정보 빅데이터를 의료정보와 융·복합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김선태 국토정보정책관은 “공간 빅데이터를 의료뿐만 아니라 복지·교통 등 다양한 분야와 연계한 융·복합 활용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세종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2015-08-05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