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연의 복심’ 김연배 한화생명 부회장 돌연 사의
김연배(71) 한화생명 부회장이 돌연 사의를 밝혔다.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복심’(腹心)으로 불리던 그가 여름휴가(3~8일) 중 그것도 김 회장의 ‘광복절 특사’가 유력해진 가운데 내린 결단이라 배경을 둘러싸고 뒷말이 무성하다.한화생명은 10일 “지난해 9월 취임한 김 부회장이 고령 등의 이유로 후학 양성에 힘쓰겠다며 지난주 사의를 표명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한화생명은 차남규 사장 단독 체제로 바뀌게 된다. 그간 한화생명은 차 사장이 영업을, 김 부회장이 자산운용과 전략 부문을 공동대표 체제로 맡아 왔다.
김 부회장은 1968년 한화증권에 입사해 48년간 그룹에 몸담은 ‘한화맨’이다. 한화그룹 구조조정본부 사장, 금융부문 부회장 등을 거쳤다. 지난해까지 비상경영위원장을 지내며 투자·경영전략 등 그룹 현안에 깊숙이 관여했다. 김 부회장은 김승연 회장의 경기고 동문이다. 2005년 공정 입찰을 방해한 혐의와 전윤철 당시 경제부총리에게 뇌물을 주려 한 혐의로 1년 6개월의 실형을 선고받았을 때도 “나 혼자서 한 일”이라며 김 회장을 보호했다. 그런 그가 김 회장 복귀가 가시화되는 시점에 스스로 물러나는 것이어서 여러 의문이 쏟아진다.
실적 논란도 있다. 한화생명은 최근 ‘만기보유채권’을 모두 ‘매도금융채권’으로 재분류했다. 만기까지 갖고 있을 계획이던 채권을 시중 거래가격을 반영해 중간에 팔 수 있는 채권으로 회계상 변경해 1조원이 넘는 장부상 이익을 만든 것이다. 불법은 아니지만 통상 금융사의 건전성 지표인 위험기준자기자본(RBC) 비율을 높일 여력이 없는 경우 활용된다. 한화생명 측은 “자산운용의 한 방법일 뿐 법적으로 아무 문제가 없다”면서 “(김 부회장) 취임 직후 6970원이던 주가가 지난 9일 8370원까지 올랐다”고 반박했다. 술을 일절 입에 대지 않는 김 부회장이 최근 들어 오래 서 있기 힘들어하는 등 휴식이 필요해진 것뿐이라는 게 한화의 공식 해명이다. 김 부회장은 조만간 그룹 내 인재경영원 고문으로 자리를 옮긴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2015-08-11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