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경계·안전 존으로 나눠…안전처, 3단계 ‘맞춤형 방제’
태안 유류유출 사고에 힘을 보태려 뛰어들었던 자원봉사자 가운데 8만여명이 병원 신세를 졌다. 이들은 구토, 어지러움 등 증세를 호소했다. 기름이나 유증기(기름방울이 안개 형태로 공기 중에 분포돼 있는 상태)가 많은 지역을 구분하지 않고 인력을 투입한 데 따른 부작용이었다.
재난안전 관리 선진국에선 이미 재난현장을 위험(Hot), 경계(Warm), 안전(Cold) 존으로 나눠 방제작업을 벌이는 게 당연시되고 있다. 시간이 흐르면서 변화하는 양상을 알아야 인력 손실을 줄이는 등 제대로 된 방제작업을 기약할 수 있다. 이제 우리나라에서도 무작정한 대응으로 빚어질 수 있는 걱정을 한결 덜게 됐다.
국민안전처는 최근 싱가포르 이스트코스트파크에서 닷새에 걸친 ‘방제현장 지휘자 과정’ 연수를 1차로 마쳤다고 31일 밝혔다. 해양경비안전본부 기동방제 담당 사무관과 해경안전교육원 교수 1명이 각각 참가했다. 유류오염 대응을 전문으로 하는 영국의 세계적 다국적회사 OSR(Oil Spill Response)에서 강사진을 파견했다. 싱가포르 지사는 아시아 지역을 총괄한다. 태안 사고 때도 다녀갔다.
안전처 직원들은 해양 오염사고 원인, 유출된 유류의 구별법과 환경 및 경제에 미치는 영향, 현장 지휘자의 맞춤 대응력을 실습 위주로 배웠다. 환경 민감도를 고려한 효율적인 방제 우선순위 결정 등 작업 참가자들까지 고려하는 길을 깨우친 것이다. 발표회도 가져 익힌 내용을 놓고 검증을 끝냈다. 따라서 해양오염 방제작업 땐 무분별한 인원·장비 투입이 사라지고 3단계별 상황에 맞춰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안전처는 보고 있다. 안전처는 연수내용을 전파해 전 직원들에 대한 전문화를 이룰 계획이다.
송한수 기자 onekor@seoul.co.kr
2015-09-01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