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유산 지킴이 문화재청
문화재청 공무원들의 자부심을 대변하는 말이다. 우리의 뿌리를 지키고 다음 세대를 위한 우리 문화의 가치를 새로이 창조한다는 사명감이 문화재청의 존립 근간이다. 때문에 문화재청 공무원들은 사명감, 소명의식을 으뜸 자질로 꼽는다.
업무는 다양하다. 문화재 지정 및 등록부터 문화재 보존과 재정 지원, 문화재 현상변경·발굴 등 허가, 조선 4대궁·종묘·능 및 중요 유적지(세종대왕유적·현충사·칠백의총) 직영 관리, 국제 교류·국외문화재 환수·세계유산 지정 등 우리 문화재의 세계화, 문화재 조사 연구, 문화재 전문 인력 양성 등이다. 이들 업무는 문화유산의 올바른 보존과 새로운 가치 창출을 통해 국민 문화생활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문화재청은 1945년 11월 구황실사무청으로 출발해 1998년까지 문화공보부와 문화부, 문화체육부, 문화관광부 외국(外局)으로 문화재 관리 업무를 수행해 왔다. 1999년 5월 문화재청으로, 2004년 3월 차관청으로 승격됐다.
문화재청엔 본청(1관 3국 19과) 272명, 25개 소속기관 644명, 총 916명이 근무하고 있다. 행정직, 사서직, 전산직, 임업직, 공업직, 해양수산직 등 다양한 직렬의 직원들이 일하고 있다.
문화재청은 일반직 공무원과 학예연구직 공무원으로 나눠져 있다. 일반직 공무원은 5·7·9급 국가공무원 공개경쟁 채용시험 합격 뒤 문화재청으로 배정받는다. 학예연구직 공무원은 문화재청에서 직접 뽑는다. 문화재 연구 업무 분야를 담당하는 전문 인력으로 채용된다. 역사학, 고고학, 미술사학, 민속학, 보존과학 등 문화재 분야 관련 대학원을 졸업해야 하고, 필기시험과 면접시험 등을 통해 선발한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5-09-04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