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장관 대구 출마시 다른 사람들도 덩달아 출마할 수도”
정종섭 행정자치부 장관의 8일 전격적인 사의 표명은 집권 4년차를 앞둔 내각 개편의 의미에 그치지 않고 여권의 내년 총선 후보 진용 판짜기 측면에서 정치적 의미가 더 커 보인다.정 장관이 물러나는 것은 내년 총선 출마를 위한 것이고, 특히 출마 예상 지역이 대구라는 점때문이다.
대구는 새누리당의 텃밭일 뿐 아니라 박근혜 대통령의 정치적 고향이라는 점에서 어떤 인물들이 대구·경북(TK) 지역의 ‘후보 편대’를 형성하느냐는 정치적인 무게감과 상징성 측면에서 주목되는 관전 포인트이다.
내년 총선을 5개월여 앞둔 시점에서 대구 출마를 위한 정 장관의 전격적인 사의표명이 TK 지역 ‘현역 의원 물갈이’의 신호탄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는 자연스러운 이유이다.
내각에서 정 장관이 차지하는 위상이나 출마 예상 지역이 대구라는 점에 비춰 으로 볼 때 정 장관의 사의는 박 대통령과 교감 속에 이뤄졌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대구는 12개 지역구가 모두 새누리당이 장악하고 있는데다 박 대통령의 영향력이 절대적이어서 여당으로서는 어느 곳보다 상징성이 큰 지역구다.
4선 의원으로 대구 지역 최다선인 이한구 의원은 불출마를 선언했고, 3선 의원은 유승민 전 원내대표와 주호영 의원 2명이다. 조원진 원내수석부대표가 재선이고, 나머지 8명이 모두 초선 의원들이다.
지난 19대때 현역 물갈이 지수가 높았던 곳이라는 점에서 이번에도 ‘텃밭 물갈이’ 추세는 계속될 거라는 전망이 많다.
특히 지난 9월초 박 대통령의 대구 행사 당시 현역 지역구 의원들은 한명도 초청장을 받지 못하고 지역 출신 청와대 참모들이 대거 동행해 대대적인 현역 물갈이설이 수면위로 부상했었다.
한 당직자는 “한때 대구 지역구에서는 내년 총선에서 현역 의원 가운데 2명만 살아남을 것이라는 소문까지 나돌았다”면서 “정 장관이 대구 출마가 확정된다면 누가 되든 현역 의원 한 명과 공천을 놓고 싸워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파급력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공교롭게도 정 장관은 지난 19대 총선때 당시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이 구성한 공천심사위 멤버로서 TK 지역 물갈이를 주도해 지역 사정에 정통한 편이 속한다.
여권 다른 핵심관계자는 “박 대통령과 가깝고 중량감이 있는 정 장관이 대구 지역에 출마를 할 경우 친박 성향의 다른 출마 예상자들도 ‘벨트’를 형성하기 위해 덩달아서 출마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전광삼 전 청와대 춘추관장은 지난 9월 일찌감치 물러나 대구 지역 출마를 위해 뛰고 있는 중이다.
대구경북 지역외에 다른 지역도 여의도 입성을 노리는 정부·청와대 출신 인사들이 권역별로 ‘친박 벨트’를 형성하는 게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청와대 출신으로 수도권에서는 민경욱 전 대변인이 분구가 예상되는 인천 연수구쪽에 깃발을 꽂으려 하고 있고, 청와대 홍보기획비서관을 지낸 최형두 국회 대변인도 경기도 의왕·과천 출마를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영남권에서는 최상화 전 춘추관장이 경남 사천ㆍ남해ㆍ하동 출마를 준비 중이고, 충청권에서는 박종준 전 경호실 차장이 세종시 또는 공주시에서 금배지를 노리고 있다.
정부측에서도 이미 후임이 정해진 유기준 해양수산부 장관(부산 서구), 유일호 국토교통부 장관(서울 송파을)과 함께 최경환 경제부총리(경북 경산 청도), 황우여 사회부총리(인천 연수구), 김희정 여성가족부 장관(부산 연제구) 등이 교체 대기 중이다.
정부·청와대 인사들의 출마설이 현역 물갈이론으로 연결되면서 김무성 대표가 주창하는 ‘상향식 공천’을 놓고 계파 갈등이 또다시 표면화할 수도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비박계에서는 이미 당론으로 채택한 오픈프라이머리는 어렵더라도 상향식 공천은 관철해야 한다면서 인위적 물갈이와 ‘찍어내기식’ 전략 공천이 가시화할 경우 좌시하지 않겠다는 입장이어서 연말 공천룰 논의 과정에서 친박-비박계의 해묵은 갈등이 재연될 수도 있다.
다른 당 관계자는 “정부·청와대 출신 인사들은 개별적으로 인물 경쟁력이 있다는 점에서 굳이 상향식 공천 문제로 갈등의 소지가 될 이유는 없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