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우영 구청장의 ‘마을공동체’ 철학
지난달 30일 은평구 갈현2동에 있는 한 주택 지하에 들어선 김우영 은평구청장은 벽을 향해 연방 휴대전화 카메라를 들이댔다. 걸려 있는 그림이 평범한 이웃의 작품이지만 솜씨가 예사롭지 않았기 때문이다.지난달 30일 은평구 갈현2동의 한 카페에서 김우영(왼쪽 두 번째) 은평구청장이 마을공동체 상상골목 관계자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
갈현2동에는 이런 공간이 많다. 사랑방 같은 ‘카페 마을엔’, 아이들에게 제2의 집이 되는 대안학교 ‘작공’, 수다와 놀이가 예술이 되는 ‘마을예술창작소’ 등이 길마공원을 중심으로 늘어서 있다. 갈현2동 상상골목으로 불리는 이곳은 은평의 대표적인 마을공동체다.
마을공동체를 구의 대표 사업으로 꼽는 김 구청장은 “건물을 짓고 상권을 만드는 식의 개발은 어마어마한 비용이 들어간다. 마을공동체는 기존의 장소와 재능, 감정적 연결고리를 활용해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마을에 더 나은 삶을 가져오는 효과가 있다”고 했다.
김 구청장은 관(官)의 역할도 확실히 알고 있다. “새마을운동처럼 관이 주도하면 안 됩니다. 관이 설계도를 그려 놓고 따라오라고 할 게 아니라, 주민들이 직접 마을로 나설 수 있도록 동기부여를 하는 겁니다. 계획은 주민들이 짜고, 우리는 경비와 공간을 최대한 지원하면서 뒷받침하는 거죠.”
김 구청장은 “현재 한국의 경제 구조는 생산지에선 단가를 못 건지고 소비지에서는 폭등한 가격 때문에 소비가 위축되면서 중간 유통상의 배만 불리는 형태”라고 지적하면서 “골목경제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것”을 마을 공동체의 청사진으로 보고 있다. 이어 “마을과 마을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생활소비, 일자리 창출, 재능 나눔 등이 다양하게 이루어지는 마을을 만들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여경 기자 cyk@seoul.co.kr
2015-12-03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