區, 특화 도서관 사업 박차
“각 지역의 역사와 특색을 보여주는 특화 도서관은 정보 격차 해소뿐 아니라 ‘종로다움’의 상징이기도 합니다.”(김영종 종로구청장)
|
9일 서울 종로구 숭인동의 도담도담 한옥 도서관 앞에서 어린이들이 책을 들어 보이고 있다.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
국악로는 1930년대 판소리 명창 사설단체인 조선성악연구회와 초기 국립국악원이 자리했던 곳이다. 지금도 국악기 판매 업소와 국악전수 교습소 등이 밀집해 있다. 구는 동 주민센터의 지상 4~5층을 도서관으로 조성해 국악 관련 서적과 국악기를 비치할 예정이다.
아울러 전통악보와 전통서적, 음악감상실도 마련하고 국악 공연도 열어 ‘보고 듣고 즐기는’ 국악체험의 장이 될 전망이다. 구 관계자는 “요일별 유아·청소년 국악 강좌, 악기 및 전통문화 체험 행사를 운영할 것”이라면서 “전통예술인의 연구활동 지원을 위한 공간으로도 사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국학 도서관은 역사·교육적으로 유서가 깊은 명륜동의 지역 특성을 살려 만드는 도서관으로 2017년 6월 준공할 계획이다. 명륜동에는 고려와 조선의 최고 교육기관인 성균관과 공자를 모시는 문묘, 우리나라 최초의 대학도서관인 존경각, 탕평비 등 역사유적지가 인접해 있다. 구는 도서의 30%를 역사·문화 국학 자료로 비치하고 국학 관련 강연 등을 개최할 수 있는 세미나실을 만들 예정이다. 어린이 전용공간과 개방형 옥상도 조성한다.
종로구에는 2010년까지 구립 도서관이 한 곳도 없었다. 이에 김영종 종로구청장은 동네마다 평생교육의 장을 마련한다는 취지로 특색 있는 도서관 건립에 관심을 기울여 왔다.
현재 구에는 총 4곳의 특화 도서관이 운영되고 있다. 자연 속에서 뛰놀며 책을 볼 수 있는 ‘삼청공원 숲속 도서관’(생태 특화), 8000여권의 문학 서적이 구비된 ‘청운 문학 도서관’(문학 특화), ‘아름꿈 도서관’(시청각 특화)과 ‘도담도담 한옥 도서관’(전통문화 특화)이 그것이다.
김 구청장은 “봉제공장이 밀집된 창신동에도 도서관을 세울 예정인데 영세 소상공인을 위한 맞춤형 경제·금융교육이 가능하도록 구상 중”이라면서 “앞으로 올림픽 등의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체육 특화’ 도서관과 초창기 신문부터 디지털 저널리즘까지 자료를 비치한 ‘언론 특화’ 도서관도 만들고자 한다”고 밝혔다.
최지숙 기자 truth173@seoul.co.kr
2015-12-10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