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3년간 4만여건... 강남구 담당부서 설치 지연
자동차세나 과태료를 장기간 체납하고도 불법 주·정차를 일삼고 대포차로까지 활용되는 사례를 막고자 도입한 자동차 번호판 영치 시스템이 자리 잡았다.
|
서울시와 25개 자치구는 2013년 4월부터 자동차번호판 영치시스템을 시행한 후 첫 해 7,803건, 2014년 1만 4,622건, 올해 1만 8,665건의 영치 실적을 올렸다. 시 본청은 2013년 1,495건, 2014년 2,105건, 올해 1,238건으로 총 4,838건의 번호판을 영치했다. 자치구별로는 서초구가 3년간 3,724건으로 1위륵 기록했으며, 강북구(3,403건), 송파구(2,996건)가 뒤를 이었다. 반면, 강남구는 3년간 0건으로 영치 실적이 전무했다. 강서구 61건, 종로구 212건도 비교적 적은 편이었다.
그러나 서울시는 자동차 과태료 징수와 번호판 영치는 목적이 다르기 때문에 두 가지를 모두 활용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박진형의원은 “번호판 영치는 과태료를 받기 위한 목적보다 불법 자동차 확산을 막는 차원”이라며 “불법차량이 계속 불법주정차와 버스중앙차로 사용을 일삼고 의무보험에도 가입하지 않는 동시에 대포차로까지 활용되는 걸 막아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최근 3년간 서울시내 의무보험미가입과 검사미이행 차량은 40만대에 달한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