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 전까지 애국지사 탄압… 전시관 조성해 10월 개방 예정
경남 창원시 마산 합포구 월령동 3가 도심에 있는 일본 제국주의 시대 헌병대 건물인 마산헌병분견대가 일제의 가혹·탄압 행위를 보여주는 전시관으로 조성된다. 경남 창원시는 29일 문화재청 소유인 마산헌병분견대 건물을 국·도비와 지방비 등 모두 3억원을 들여 일제 만행을 전시하는 공간으로 꾸며 개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마산헌병분견대는 일본이 헌병대 주둔을 위해 1926년 건립했다. 붉은 벽돌과 기와지붕으로 된 지하 1층, 지상 1층 건물로 부지는 936㎡이다. 해방 전까지 일본 헌병대는 우리나라 곳곳 헌병분견대 건물에 주둔하며 애국지사와 독립투사를 탄압했다. 헌병분견대는 일제 잔학상의 상징으로 꼽힌다. 마산헌병분견대 건물은 해방 뒤 옛 보안사령부 마산파견대가 사무실로 쓰기도 했다. 각종 단체가 사무실로 사용하다 지금은 비어 있다.
마산헌병분견대는 현재 우리나라에 유일하게 남아있는 일제시대 헌병분견대 건물로 건축사적·역사적 가치가 큰 것으로 평가된다. 문화재청은 2005년 9월 14일 마산헌병분견대 건물을 등록문화재 제198호로 지정해 관리하고 있다.
이병선 창원시 문화재관리 담당은 “일제 헌병대가 각종 가혹행위를 했던 당시 모습을 모형으로 만들어 재현하고 관련 사진과 각종 자료도 수집·전시해 오는 10월쯤 문을 열 계획이다”고 말했다.
창원 강원식 기자 kws@seoul.co.kr
2016-03-01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