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구·군 보건소 조직이 지난 50년간 단 한차례도 증 ·개편이 없어 현재 실정에 맞지않는 등 문제점이 많아 보건소 조직을 개편한다고 16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구·군 보건소가 전문 인력 최소배치기준에도 미치지 못하는 등 인원이 절대 부족하며, 심한 보건소는 최소배치기준보다 17명이나 모자란다. 전국의 보건소 직제는 서울 4과, 인천 3과 ,광주 3과, 대구 3과이나 유독 부산은 인구 면적 관계없이 1과로 편제돼 있다.
이로인해 부산보건소 공무원은 1인당 전국평균 4016명보다 훨씬 많은 6000명의 시민을 돌보고 있다. 이에 따라 시는 인력보강 등을 위해 보건소가 생긴 이래 처음으로 조직개편을 강력하게 추진키로 했다.
시가 마련한 주요 개편안은 보건소를 보건정책과와 건강증진과의 2과 체제로 만들고, 팀과 인력확충,메르스 등 해외 신종 감염병 신속 대응 등을 위한 감염병관리팀 설치 등이다. 또 자살률 감소 등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정신보건팀, 암과 심뇌혈관질환 사망률 감소를 위한 동 단위 건강팀(마을건강센터 설치) 등도 설치키로 했다.
시는 오는 2020년까지 4개년에 걸쳐 지역실정에 맞게 단계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김기천 시 건강체육국장은 “이번 조직개편은 국제적 관문 도시로서의 해외유입 신종 감염병에 대한 신속대응과 지역사회 감염병 확산 예방에 크게 기여 할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 김정한 기자 jhk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