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공원공단, 경로 파악
텃새로 알려진 우리나라 괭이갈매기가 550㎞ 떨어진 일본에서 발견됐다. 국내에서 태어난 괭이갈매기 새끼가 어디까지 퍼져 나가는지를 확인한 첫 사례다.
|
지난해 10월 구조 당시 괭이갈매기 모습. 일본 도쿠시마 거주 가주토 요시다씨 제공 |
괭이갈매기는 한·중·일 등 극동아시아 지역에 분포하는 바닷새로 육지에서 떨어진 무인도에서 집단 번식하는 대표적인 텃새다. 태어난 지 2~3개월이 지나면 어른 새와 먹이경쟁을 피하고 개체군의 유전자 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해 둥지를 떠나는 것으로 알져져 있다.
한편 철새연구센터는 조류의 국제적 이동경로를 확인하고 기후변화 실태 등을 연구하기 위해 지난 10년간 조류 244종, 6만 954마리에 가락지를 부착했다.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16-03-21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