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금사과’… 늦더위에 생육 나빠 가격 고공행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울릉도 이틀 간 300㎜ 폭우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팔당서 수돗물 공급받는 인천, 서울시보다 3배 비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전남 의대 1곳·대학병원 2곳 세운다, 동·서부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역시Ⅰ급수 태화강, 살아있네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바지락 年 400t가량 어획 가능… 맑은물 사는 재첩 서식도 늘어

산업·도시화로 심각한 수질오염을 겪었던 울산 태화강 하구의 수질이Ⅰ급수 수준으로 개선되면서 다시 돌아온 바지락과 재첩이 쑥쑥 자라고 있다. 생태계 복원으로 증가한 바지락은 2014년부터 연간 60~280t씩 채취돼 전국 양식장 등에 공급한다.

21일 울산시에 따르면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연구소가 지난해 3월부터 1년간 태화강 하구에서 ‘바지락·재첩 생태 및 자원량 조사 용역’을 벌인 결과 자원량이 처음 조사한 2010년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 바지락 자원량은 평균 1535t으로 조사돼 2010년 평균 1470t보다 60여t 늘어났다. 바지락 종패의 연간 어획 가능량은 400t 수준으로 조사됐다. 동해연구소는 바지락 산란 상태를 조사한 결과 매년 8월 산란 개체 증가를 확인함에 따라 현재 지정한 6~8월 권장 금어기를 7~9월로 변경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특히 국내 바지락 종패 시장은 주 생산지인 서해안의 매립과 간척 등으로 서식 장소가 감소해 연간 4000t가량을 중국 등에서 수입하고 있다. 하지만 수입 종패는 퍼킨수스 등과 같은 질병 발생과 하천 생태계 교란 위험성을 안고 있다.

이에 따라 질병 감염 우려가 없는 태화강 바지락이 국내 바지락 양식장(1만여t)의 중요한 종묘 공급원으로 부각되고 있다. 태화강 바지락은 현재 총허용어획량에 따라 연간 400t 이내 채취, 수협 위판장을 통해 전량 판매되면서 안정적인 공급원으로 자리잡고 있다. 앞서 시는 수질개선 효과에 힘입어 2009년부터 2013년까지 태화강하구 바지락 어장 146㏊를 개발했다. 이어 2014년부터 패류 채취어업 허가를 받은 어민 29명이 연간 400t을 채취하고 있다.

또 태화강 하구 재첩 자원량이 이 기간 1200t으로 조사돼 2010년 38t보다 31배가량 증가했다. 재첩은 깨끗한 물에 서식하기 때문에 태화강 생태계 복원을 입증했다. 시는 재첩의 주 산란기와 안정성 등을 조사해 채취 관광 및 수산자원 개발 여부를 검토하기로 했다. 현재 재첩의 무단 채취는 금지돼 있다.

울산 박정훈 기자 jhp@seoul.co.kr
2016-03-22 12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츮  ڶŸ Ÿ&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