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동인구가 많은 만큼 높은 금액을 불렀던 고속터미널역(5억 1000여만원)과 충무로역(4억 6000여만원)은 나서는 입찰자가 아예 없었다. 경쟁입찰 방식이라 한 역명에 두 곳 이상이 입찰해야 했지만 을지로입구역, 압구정역, 청담역 등은 단독 입찰로 마감됐다. 인기를 끌 것으로 예상했던 명동역도 마찬가지였다. 서울시교육청이 무상 역명 병기를 희망해 논란이 됐던 5호선 서대문역은 대형 의료기관 등 2곳이 입찰했지만 1곳이 부적격 판정을 받아 단독 입찰로 유찰됐다.
12곳의 역 중 이름이 팔린 홍제역을 제외한 11곳은 종전대로 입찰 대상이다. 을지로입구역, 방배역, 역삼역, 압구정역, 충무로역, 명동역, 강동역, 서대문역, 청담역, 고속터미널역, 단대오거리역이다. 대상은 역에서 500m 안에 있는 공익기관과 학교, 병원, 백화점 등이다. 지역 내 해당 기관이 없으면 역에서 1㎞까지로 범위를 넓힌다. 공공성이 떨어질 경우엔 대상에서 배제된다. 시 관계자는 “앞으로 병기역명 사용 효과를 홍보하거나 공익기관의 대상을 넓히는 등 방안을 강구 중”이라고 말했다.
최지숙 기자 truth173@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