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발하는 염태영 수원시장
“시·군세 일부 도세 전환 ‘하향평준’수원 年세입 1799억 감소 타격”
“정부의 방안은 지방재정의 기본 틀은 물론 지방자치의 근간마저 흔드는 초법적인 행위나 다름없습니다.”
염태영 경기 수원시장은 2일 기자 간담회에서 최근 중앙정부가 발표한 지방재정 개혁 추진 방안에 대해 반대 입장을 분명히 밝히고 성남·용인·화성시 등 관련 지자체와 공동 대응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변경된 배분 방식이 적용되면 수원시의 경우 법인지방세 936억원, 조정교부금 863억원 등 모두 1799억원이 감소한다. 화성시는 연간 2500억원가량의 세입 감소가 예상된다.
염 시장은 “이 같은 정부 방안이 현실화될 경우 농수산물도매시장 시설 현대화 사업을 비롯해 컨벤션센터 건립, 수원 연구·개발(R&D) 사이언스파크 조성 등 대규모 투자사업의 차질이 불가피해진다”면서 “국가 재원의 지방 이양 없이 조정교부금 제도 변경을 통한 지방 재정 불균형 조정은 자치단체의 재정력 하향 평준화만 초래할 뿐”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정부 제도 개편 배경에는 수도권 일부 지자체의 지역복지정책에 대한 불신이 깔려 있다”면서 “그렇다고 재정 여력이 다소 있는 지자체의 재정을 빼서 전체에 나눠 준다는 것은 지방재정의 기본 틀을 흔드는 것”이라고 일갈했다.
그러면서 “정부가 지방재정 개편 방침을 밀어붙인다면 인구 100만 도시인 수원, 용인, 고양, 성남시 등은 광역시로 갈 수밖에 없다”면서 “우선 수원시는 수원금고지키기 시민비상대책협의회를 구성하는 등 강력히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병철 기자 kbchul@seoul.co.kr
2016-05-03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