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민주화 운동 제36주기 기념식을 이틀 앞둔 이 날, 성백진 시의원을 비롯한 서울시의회 의정산악회 시의원들은 헌화와 분향을 통해 민주화 운동 희생자의 숭고한 희생정신을 추모하고, 민주화 정신의 계승의지를 다졌다.
이어 서울시의원들은 숙연한 분위기 속에 행방불명자 묘역, 광주 학생운동 기념탑과 함께 불의에 저항하는 시민군을 형상화한 ‘무장항쟁군상’과 민주주의의 승리를 염원하는 ‘대동세상군상’ 등을 둘러보며 부당한 국가 권력에 항거한 시민들의 민주화 열망과 역사적 흔적들을 기리는 시간을 가졌다.
서울시의회가 공식적으로 5‧18국립묘지를 참배한 것은 사실상 이번이 처음이다. 금번 참배를 주도적으로 준비해 온 김인제 서울시의원(구로4, 더불어민주당)은, “수많은 국민들의 피와 눈물로 성장해 온 우리나라의 민주주의가 일부 권위주의적 잔재에 의해 위협받고 있다.” 면서, “지방의회의 일원으로서 광주의 묘역을 참배하면서 참다운 지방자치의 실현과 민주주의의 미래에 대해 고민하는 시간을 갖고자 했다.”며 의의를 설명했다.
이날 참배를 마친 다른 대다수의 서울시의원들 역시 “정의로운 국가와 보편적 시민사회를 꿈꿨던 5월 정신을 계승하고, 국민의 아픔과 함께 하는 서울시의회가 될 것.” 이라며, 5‧18 민주화 운동의 의의와 정신을 되살리고, 성숙한 민주주의 구현을 위해 노력할 것을 다짐했다.
특히 서울시의원들은 이 날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 “임을 위한 행진곡”을 공식기념곡으로 지정하는데 미온적 태도를 보이던 정부와 확연히 비교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