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광재 매니페스토본부 사무총장
주민과 소통 강화 노력 엿보여교육감들 공약이행·정보공개
시·도지사들보다 폐쇄적
|
이광재 매니페스토본부 사무총장 |
“민선 5기(2010년 출범)보다는 6기(2014년 출범)가 주민들과 함께 공약을 실천하려는 의식이 커졌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합니다.”
이광재 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 사무총장은 19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전국 시·도지사 및 교육감 공약 이행 및 정보공개 평가 결과 발표’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이 사무총장은 나라의 주권이 국민에게 있다는 의미의 ‘주권재민’(主權在民)을 계속 강조했다. 그는 “주권재민이란 말처럼 지방정부에서 주민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한 점이 엿보였다”면서 “경기도에서는 연정, 충남·대구·제주 지역에서는 협치를 시도하려는 움직임이 확인됐다”고 분석했다. 또 “민선 6기가 여소야대의 정치 상황에서 조금씩 같이 가고자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다만 이 사무총장은 교육감의 공약 이행 부문에서는 “아직 갈 길이 멀었다”고 지적했다. 그는 “교육 자치 선거를 아직 몇 번 해보지 않았기 때문인지 교육감의 공약 이행과 정보공개 정도가 시·도지사들과 비교했을 때 폐쇄적이었다”고 말했다.
예컨대 교육청에서 어떤 사업이나 정책 등을 추진할 때 꼭 교육단체를 끼고 한다는 지적이다. 이렇게 할 경우 정작 지역 주민을 배제하고 교육단체들의 입김에 휘둘릴 수밖에 없다. 이 사무총장은 “교육감을 선거로 뽑는 교육 자치를 하고 있는 이유는 각 지역 주민과 함께 좋은 교육 정책을 만들자는 뜻에서 비롯된 건데 현재 주민들과 함께하려는 의식이 약하다”고 밝혔다.
그는 앞으로 전국 시·도지사와 교육감이 공약 이행 시 ‘속도’보다는 ‘방향’에 초점을 맞추고 추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 사무총장은 “미국 오바마 대통령이 후보였던 시절 ‘변화, 우리는 할 수 있다’(Change. Yes We Can)는 슬로건을 내세웠는데 중요한 건 ‘나’(I)가 아니라 ‘우리’(We)였다는 점”이라면서 “지역 주민들이 함께하는 게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는 의미”라고 덧붙였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2016-06-20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