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봉 ‘마을교사들의 마주 보기’
3000여명 학생·500여명 교사1년새 3배 늘어 든든한 ‘버팀목’
이동진(가운데) 서울 도봉구청장이 20일 구청사 대강당에서 열린 ‘마을교사들의 마주 보기 한마당’에 참석해 교사들의 발표 내용을 지켜보고 있다. 최해국 선임기자 seaworld@seoul.co.kr |
20일 도봉구청 대강당에서 열린 ‘마을교사들의 마주 보기 한마당’(마마마)에 참석한 이동진 도봉구청장은 굵직한 목소리로 노래를 부르며 주민의 참여를 유도했다. 마을교사는 지난해부터 서울시 혁신형 교육지구에 도봉구가 선정되면서 ‘온 마을이 함께 아이를 키운다’는 생각으로 참여한 주민들이다. 현재 96개 마을학교에서 500여명의 마을교사가 3000여명의 학생과 함께 꿈과 끼를 키우고 있다.
마을교사는 대부분 자녀를 키우는 어머니로 자신의 아이뿐 아니라 동네의 아이도 함께 키운다는 생각으로 참여했다. 연극, 상담 진로, 책문화, 놀이, 체육, 역사문화, 식생활,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아이들의 재능 발굴에 열심이다. 마을학교 교사와 학생은 지난해보다 3배나 규모가 늘어나는 등 지역공동체를 지탱하는 든든한 버팀목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 구청장은 “아이들이 마을학교에서 작은 재능을 습득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마을 공동체의 일원이란 인식을 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고 말했다. 대도시의 익명성에 숨어서 청소년이 골목길에서 담배를 피우는 것조차 아무런 일이 아닌 게 되어버린 현실이 도봉구에서는 더이상 발붙일 수 없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마을교사들은 주로 학교에서 뮤지컬, 보드게임 등 방과후 예체능 수업을 맡는다. 실제 학교뿐 아니라 동주민센터, 복지관, 숲 등 생활을 하는 마을 전체가 지역 청소년에게는 학교가 된다. 구 평생학습관은 뜨개질, 글쓰기, 마술, 짜장면 만들기, 사진 등 ‘그 어느 것이든 재능이 될 수 있다’는 구호 아래 재능기부를 할 ‘마을 달인’을 모집 중이다. 자신의 재능과 역량을 나누고자 하는 주민은 누구나 참여 가능하다.
구가 모델로 삼은 것은 유엔의 세계행복보고서에서 2년 연속 1위를 차지한 덴마크와 청소년 여가시설이 1만 6000여개나 있는 독일이다. ‘협동조합이 둑이 된다’는 덴마크와, 청소년에게 ‘스스로 하게 하라’고 말하는 독일이 바로 도봉구가 열어가는 미래인 셈이다.
그는 “마을교사들이 새로운 길을 열어 가고 있다는 자부심으로 함께 활동해 주길 바란다”면서 “마을공동체 안에서는 가정폭력이나 학교폭력, 비행청소년은 나오지 않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윤창수 기자 geo@seoul.co.kr
2016-06-21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