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보험료율론 재정바닥 우려
2060년쯤이면 65세 이상 노인 10명 가운데 9명이 국민연금을 수급하게 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21일 신혜경 국민연금연구원 연구위원은 국민연금공단 내부자료와 주민등록상 인구, 제3차 국민연금 장기재정 추계(2013년) 등을 토대로 65세 이상 인구 중 국민연금(노령연금·유족연금·장애연금 포함)을 받는 수급자의 비율을 분석한 ‘연금 수급률의 해석’ 보고서를 내놨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 현재 노인 인구는 677만 5000명이며 이 가운데 연금 수급자는 246만 7000명으로 연금 수급률은 36.4%다. 신 연구위원은 급속한 고령화와 국민연금 제도의 성숙으로 연금 수급률이 2020년 41.0%, 2030년 50.2%, 2040년 65.1%, 2050년 80.6%로 증가할 것으로 추산했다. 2060년에는 전체 노인 1762만 2000명 가운데 91.3%인 1608만 7000명이 국민연금을 받을 것으로 추정했다.
제3차 국민연금 장기재정 추계에 따르면 현재 보험료율을 유지하면 2060년에 국민연금 재정은 바닥을 드러내게 된다.
국민연금 보험료율은 소득의 9%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인 19.6%의 절반 수준에도 못 미친다. OECD는 지난 5월 ‘2016년 한국경제보고서’에서 국민연금의 소득대체율을 현행 46%로 유지하면서 지속가능성을 높이려면 보험료율을 상향 조정하라고 권고한 바 있다.
세종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6-06-22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