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핵 고위험 60대 검진 확대 검토”
대형병원에서 잇따라 발생한 의료인 결핵 감염 사례는 우리나라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운데 결핵 발병국 1위란 사실을 다시 한번 환기시켜 줬다. 해마다 3만여명의 새로운 결핵 환자가 발생하고 있지만, 보건당국은 2011년에야 민간병원에 결핵 전문 간호사를 배치하기 시작했고, 2013년에야 제1차 결핵관리종합대책을 수립했다. 결핵 퇴치 예산은 2011년 434억원에서 지난해 369억원으로 오히려 줄었다. 늦은 감이 있지만, 보건당국은 2020년까지 결핵 발생률을 지금의 절반 수준으로 줄인다는 목표를 세우고 내년부터 의료인과 어린이집 등 집단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일제 잠복결핵검사를 실시해 감염관리를 강화할 계획이다. 또 고등학교 1학년과 40세 국민을 대상으로 건강검진에서 결핵이 발병하기 전 단계인 잠복결핵 검사를 무료로 시행한다. 박옥 질병관리본부 에이즈결핵관리과장은 15일 “잠복결핵검사 대상을 현재 고교 1학년생과 40세에서 더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우리나라에 후진국형 질병인 결핵이 유행하게 된 원인과 앞으로의 대책에 대해 박 과장은 이렇게 말한다.우리나라에 결핵이 유행하게 된 원인은 우선 6·25전쟁으로 결핵환자가 급증한 데다, 1989년 전 국민 건강보험 시대를 열면서 결핵관리 주체가 보건소에서 민간 병·의원으로 바뀌어 제대로 관리하지 못한 탓이 큽니다. 보건소는 감염병 환자를 어떻게 관리해야 한다는 개념이 잡혀 있었는데, 민간 병원은 그렇지 못했지요. 환자가 보건소를 떠나 민간 병·의원으로 몰렸지만, 병·의원은 보건소처럼 철저하게 결핵환자를 추적 관리하지 못했습니다. 결핵약은 2주 복용해야 전염력이 없어지고, 한두 달 복용하면 증상이 없어지며 6개월간 복용하면 결핵균이 사멸합니다. 약을 6개월간 끝까지 복용해야 결핵이 완치되는데, 전담 관리 의료인이 없다 보니 환자가 약 복용을 중단하는 일이 다반사였습니다. 환자가 이 병원, 저 병원 옮겨 다녀 의료인도 언제부터 약을 복용했는지 알 방도가 없었습니다. 결국 제대로 치료받지 않은 많은 환자가 ‘보균자’인 잠복결핵 환자로 남았고, 항생제가 잘 듣지 않는 ‘항생제 내성 결핵균’이 발생했습니다.
문제가 심각해지자 정부는 2011년 결핵 환자를 진료하는 주요 민간 병원 121곳에 결핵 전담 간호사를 배치하고 다른 병원은 보건소의 간호사가 관리하도록 했습니다. 그 결과 2004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던 결핵 신(新)환자가 2013년 감소세로 돌아섰습니다. 특히 중·고등학생 등 청소년 결핵 신환자는 20% 포인트 줄었습니다. 이제 앞으로의 대응이 중요합니다.
결핵관리 대책의 핵심은 선제 대응입니다. 결핵환자만 따라다니며 치료할 게 아니라 결핵 발병 위험이 큰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잠복결핵을 검진해 양성자를 찾아낸 다음 결핵이 발병하기 전에 치료하겠다는 것입니다. 결핵을 퇴치하려면 결핵 발병을 예방하는 잠복결핵감염 관리 정책이 필요합니다. 잠복결핵은 전염성 결핵과 달리 증상이 없고 감염되지 않습니다. 이 가운데 5%가 2년 이내, 나머지 5%가 나중에 결핵으로 발병합니다. 3개월간 약을 복용하면 치료할 수 있습니다.
내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 학생과 40세를 대상으로 잠복결핵 검진을 하는데, 실은 잠복결핵 고위험군은 60대입니다. 60세 이상의 60%, 40대의 20%가 잠복결핵자입니다. 앞으로 잠복결핵 건강검진 대상 연령대를 좀더 넓히려고 합니다. 다만 65세 이상은 간 독성 때문에 잠복결핵이 발견되더라도 치료가 어려워 그 이하 연령대에서 잠복결핵 건강검진을 시행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일단 잠복결핵이 발견되면 치료는 무상으로 이뤄집니다. 현재 결핵환자 치료도 무료입니다. 매년 결핵환자 치료에 보험 재정을 포함해 1500억원이 들어갈 것으로 예상합니다.
오송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6-08-16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