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본부, 환자 연관성 못 찾아… 집단 아닌 산발적인 감염 추정
레지오넬라균 검출시설 첫 폐쇄국내에서 15년 만에 발생한 콜레라 환자 2명의 감염 경로가 여전히 오리무중이다. 보건당국은 28일 첫 번째 환자 A씨(59)의 가족 3명, A씨가 다녀간 식당 종사자 5명, 병원 접촉자 30명을 검사했지만 콜레라균이 발견되지 않았고, 두 번째 환자 B씨(73·여)와 접촉한 58명 중 56명도 검사 결과 음성이 나왔다고 밝혔다. 나머지 2명은 현재 검사 중이다.
이상원 질병관리본부 중앙역학조사지원단장은 “콜레라 환자들에게서 유전자가 같은 콜레라균이 검출됐고, 두 건 모두 경남 거제에서 발생했지만 일단 집단 감염이 아닌 산발적 감염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보건당국은 B씨와 함께 삼치회를 조리해 먹은 교회 종사자가 A씨가 해산물을 먹은 식당과도 관련이 있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조사했으나, 연관성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가장 유력한 감염원은 해산물이지만 A씨가 먹은 전복회와 농어회 등 어패류와 B씨가 먹은 삼치회 사이에 유통 경로를 포함한 공통분모는 확인되지 않았다. 두 환자의 동선이 겹치지도 않았다.
두 환자에게서 발견된 콜레라는 과거 국내에서 발견된 적이 없는 새로운 유형의 콜레라여서 질병관리본부는 미국 등에 해당 콜레라균에 대한 자료를 요청했다.
세종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6-08-29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