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문·서울시의회 9월 의정모니터 결과
“1시간 아닌 4시간에 1000원”공용 자전거 ‘따릉이’ 지적 포함
|
진영준(은평구 갈현로)씨는 도심지 시민의 발로 자리잡고 있는 따릉이의 홍보 및 안전 문제에 대해 건의했다. 진씨는 “따릉이 대여소의 안내판 등을 보면 ‘하루 1시간에 1000원’이라고 대여요금이 표시돼 있다”면서 “하지만, 기본 대여시간인 1시간 이내에 반납만 제대로 하면 추가 이용료 없이 4시간까지 1000원(일반권 기준)에 빌려 탈 수 있다. 1시간 1000원이 아닌 4시간 1000원인 셈”이라고 지적했다. 시민들이 이용 요금을 정확하게 알도록 안내 문구를 바꿔야 한다는 것이다. 또 그는 서울시의 공공 자전거 사업인데도 안전모를 쓰지 않고 따릉이를 타는 시민이 많은 것도 문제점으로 짚었다. 따릉이의 요금제 이름을 ‘일반권’과 ‘프리미엄권’으로 이름 붙이는데 대해서도 “영어인 프리미엄 대신 시화인 개나리나 시조인 까치 등을 따서 붙여보는 것도 좋을 듯하다”고 의견을 냈다.
박병탁(중구 동호로24길)씨는 따릉이를 이용해 시내 곳곳을 돌아다닐 수 있도록 관광코스를 개발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박씨는 “(서울시가) 단순히 따릉이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는데 그치지 말고 주말에 따릉이를 이용한 데이트코스나 해외 방문객을 위한 투어프로그램을 개발하면 좋을 것 같다”면서 “예컨대 따릉이 대여소 401곳을 연결하는 투어코스를 만들어 볼 만하다”고 말했다. 또, 박씨는 따릉이를 타고 특정 여행지를 찾아 스탬프를 모으거나 인증샷을 찍고 이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올리면 추첨을 통해 선물을 지급하는 방법도 추천했다.
한편 지난달 의정모니터를 통해 들어온 시민 제안 중 지하철 내에 폐건전지함을 설치하자는 제안을 시책에 반영하기로 했다.
유대근 기자 dynamic@seoul.co.kr
2016-10-25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