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약지 직접 찾는 박겸수 구청장
“지난해 처음 봤을 때는 벽이 무너져서 이 집을 덮치기 직전이었어요.”
|
박겸수(오른쪽) 서울 강북구청장이 16일 지역 내의 다세대주택촌을 방문해 관계자들과 함께 안전점검을 하고 있다. 강성남 선임기자 snk@seoul.co.kr |
강북구가 위험시설물에 대한 안전점검을 지속적으로 실시하며 ‘안전 행정’을 펼치고 있다. 담당 공무원, 외부 전문가 등 15명이 지역 내 안전점검 대상들을 1년에 5차례 꼼꼼하게 둘러본다. 동절기, 해빙기, 우기, 설날, 추석 등을 점검 시기로 정해 놨다. 특히 해빙기에는 겨울철 얼었던 땅이 녹으면서 지반이 약해져 시설물 붕괴 등의 안전사고가 자주 발생한다.
현재 강북구 내 안전점검 대상은 총 34곳이다. 지난 1월 약 2주간의 안전점검을 진행해 2곳을 새롭게 점검 대상에 편입시켰다. 32곳에서 조금 늘었다. 우이동의 담장 2곳에서 균열이 발견돼 C급으로 분류했다. 빠른 시일 내에 보수·보강이 필요한 D급 시설물은 8곳으로 2곳은 현재 공사가 진행 중이다.
나머지 6곳의 보수·보강공사는 속도가 나지 않는 상태다. 예산 부족이 원인이다. 대부분의 위험시설물이 개인 사유물이라 소유주들이 적극 나서서 수리하면 좋겠지만 방관하는 사람이 많다. 결국은 구청에서 개입할 수밖에 없다.
구청 관계자는 “보완공사를 위해 시에 예산을 요청했지만 응답이 없다. 다른 자치구들도 같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시에서 실시한 ‘안전도시 만들기’ 자치구 평가에서 2015년에 이어 지난해에도 ‘우수구’로 선정됐다. 2년 연속 안전도시로서의 위상을 입증한 셈이다. 더불어 6000만원의 인센티브도 챙겼다.
박 구청장은 “붕괴 위험이 있는 곳을 신속하게 찾고, 보완공사를 통해 주민들이 안전한 건축물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하는 게 구청의 역할”이라며 “주민들도 담장의 균열 등 위험한 상황을 발견하면 언제든 신고해 주길 바란다. 주민들이 경각심을 갖고 위험요소 제거를 위해 노력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이범수 기자 bulse46@seoul.co.kr
2017-02-17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