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시대와 방과후학교’ 라는 주제로 개최된 이번 한국방과후학교학회 추계 학술대회는 한국방과후학교학회, 성균관대 교육정책연구원, 한양대 교육복지정책중점연구소의 공동주최로 진행되었으며, 학회 회원과 일선 현장 전문가 등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이날 학술대회는 곽덕훈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명예교수의 ‘4차 산업혁명과 교육패러다임 변화’ 라는 주제의 기조강연으로 시작되었으며, 서울시의원이자 한국체육대학교 교육학 교수인 박호근 의원이 주제발표자로 초청되어 발표를 맡았다.
박호근 의원은 서울시의 방과후학교 운영 실태와 현황에 대해 설명하며 △ 초·중·고등학교 학생의 방과후학교 전체 참여율이 전년대비 1.6% 감소한 점, △ 최근 3년간 매년 1,000~2,000여 개씩 감소하고 있는 개설강좌수, △ 학교급별 강사 현황의 경우 초등학교는 외부 강사비율이 높은 반면, 중·고등학교는 현직교원의 비율이 월등히 높은 점, △ 방과후학교에 대한 학생 만족도가 2016년도의 일부영역을 제외하고는 해가 갈수록 낮아지는 경향 등 서울시 방과후학교 특징에 대해 언급했다.
특히 박호근 의원은 △ 현직교원들이 방과후부장직을 3D 업종으로 여기는 인식, △ 학교개방에 대한 사회의 압력으로 인해 현직교장들이 과도한 법적 책임의 부담, △ 학교밖 방과후수업시 학교안전공제회 보험이 미적용, △ 방과후학교 위탁기관에 대한 소득공제 미인정 등의 방과후학교에 대한 문제점에 대해 지적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방과후학교 운영에 관한 법률 제정과 함께 방과후학교 교장제를 도입하여 학교장들의 부담을 덜어줌과 동시에 청년 실업률 해소와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 중·고등학교에 외부 강사를 대폭 확대 채용할 것을 주장했다.
끝으로 박호근 의원은 “방과후학교 분야는 사교육비를 경감하고, 사회 양극화에 따른 교육 격차를 완화하기 위해서 도입된 정책인 만큼 국가와 국민이 매우 큰 관심을 가지고 있는 영역이다”라며 “방과후학교가 학교 교육의 테두리안에서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시의원으로서 할 수 있는 역할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