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봄서비스·일자리 일석이조
지난 27일 오후, 짙은 어둠이 내려앉은 서울 서대문구 북아현동의 좁은 골목길 사이로 칼바람이 불었다. 골목의 꼭대기, 김선례(92) 할머니가 혼자 사는 집에는 오랜만에 사람이 북적였다. 지난 6월부터 할머니가 딸이라고 부르는 정춘자(61)씨를 비롯해 문석진 서대문구청장, 서대문장애인종합복지관 관계자들이 찾아왔기 때문이다.지난 27일 오후 서울 서대문구 북아현동의 김선례(가운데) 할머니집을 방문한 정춘자(왼쪽)씨가 문석진(오른쪽) 서대문구청장에게 ‘노노케어 프로젝트’를 통해 김 할머니와 만나게 된 인연을 이야기하고 있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
정씨는 보험설계사로 일했지만 수차례 척추 수술로 지체장애 3급 판정을 받았다. 일자리가 필요했지만 장애가 있는 정씨를 받아 주는 곳은 없었다. 김 할머니는 과거 결혼 2년 만에 남편과 사별하고 자식도 없이 지금껏 혼자 살고 있었다. 하지만 노노케어 프로젝트를 통해 두 사람은 어머니와 딸처럼 지내고 있다.
정씨는 “할머니와 이야기를 하다 보면 시간 가는 줄도 모르고 허리가 아픈 것도 잊게 된다”며 “할머니를 찾아뵙고 전화를 하는 거로 돈을 받는 게 오히려 미안한 마음이 들 정도로 위안이 된다”고 했다. 김 할머니 역시 “요즘 자식들도 일주일에 한 번 부모를 찾기 힘든데, (정씨가) 매일 전화하고 일주일에 두세 번씩 집 근처를 지날 때마다 찾아와서 안부를 묻고 말벗이 돼 준다”며 “뒤늦게 이런 인연을 만나게 되다니 진짜 복이 많다”고 말했다.
노노케어 프로젝트는 지난 19일 행정안전부가 주최한 공공부분 일자리 우수 사례 평가에서 ‘대통령상’을 받기도 했다. 문 구청장은 “주민 아이디어에서 시작한 사업이라는 점에 더 의미가 크다”며 “노노케어 프로젝트는 장애인과 어르신을 아우르며 사회통합에 기여하는 사업으로 전국 어디서든 적용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윤수경 기자 yoon@seoul.co.kr
2017-12-29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