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까지 최대 5500억원 경제적 효과
조림·재조림, 수종갱신과 식생복구, 숲가꾸기 등 산림을 활용한 온실가스 감축이 산림 경영의 ‘블루오션’으로 평가받고 있다.국립산림과학원은 조림과 숲가꾸기 등 산림경영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으로 2030년까지 최대 5500억원의 경제적 효과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충남 공주에 조성된 소나무 차대검정림.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
산림과학원이 우리나라 산림의 온실가스 감축잠재량을 분석한 결과 산림 경영과 목제품 이용을 통해 2030년까지 약 1600만t의 온실가스를 흡수할 것으로 추산됐다. 약 600만t 흡수 잠재력도 보유하고 있다.
현재 수준의 경영 활동에 의한 흡수량과 추가적인 노력에 의한 흡수량을 국제기후변화 협상에서 인정받으면 산림을 통해 총 2200만t의 온실가스 감축이 가능하다. 이를 2018년 배출권 거래가격(t당 2만~2만 5000원)으로 환산시 4400억~5500억원에 달한다.
산림과학원 관계자는 “산림을 활용한 온실가스 감축은 국가 감축목표 달성과 함께 산주 소득을 높이고 산림경영활동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산림과학원은 전체 산림(633만㏊)의 67%를 차지하는 사유림의 산림 경영 참여와 집적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경제림육성단지 등 규모화된 산림 경영은 비용을 줄이고 산주나 기업의 수익성을 높일 수 있다. 10㏊ 경영시 비용은 1㏊와 비교해 83% 줄일 수 있고 순수익은 79% 증가한다. 50㏊ 경영시 비용은 85% 감소, 순수익은 81%로 높아졌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