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병선 연구위원(경기복지재단 정책연구실)은 정신건강전문요원의 역할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민간위탁 운영으로 종사자 고용이 불안정한 데다 정신질환자에게 적절하고 지속적인 서비스 제공이 어렵기 때문에 정신건강복지센터의 공공성을 강화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즉 공공성을 강화해 안정적인 인력운영 및 양질의 정신건강 지원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경기도 정신건강복지센터의 지원체계와 서비스 전달체계를 구축하는 동시에 정신보건 관련 각 주체들의 상호협력 및 연계방안 모색하고 공공성을 담보할 수 있는 전달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정희시 경기도의회 보건복지위원장은 “정신건강 서비스의 공공성 강화에 대한 요구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현실에서 이번 연구용역이 정신건강복지사업 시행 20여년 만에 처음으로 진행되는 관련 연구라는 점도 그 의미가 매우 크다”면서 “이용자와 전문가 등 다양한 주체들의 현장 목소리를 반영하는 실제적인 연구를 진행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연구용역 착수 보고회에는 경기도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정희시 위원장, 최종현, 왕성옥, 권정선, 이영봉, 이은주, 조성환, 이애형 의원을 비롯해 남윤영 국립정신건강센터 의료부장, 윤미경 경기도정신건강복지센터 부센터장, 전준희 화성시정신건강복지센터장, 유병선 연구위원(경기복지재단 사회정책팀), 주사랑 연구원(경기복지재단 사회정책팀), 조정호 경기도 정신건강팀장 등이 참석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