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북 영양군 석보면 광산문우 전경. 광산문우는 소설가 이문열씨가 2001년 고향인 석보면에 지은 사택이자 문학사랑방이다. 경북도 제공 |
경북도는 이문열(72) 작가의 고향인 석보면에 있는 장계향 예절관 등을 리모델링해 문학관을 조성하기로 했다고 2일 밝혔다.
사업비 25억원을 들여 이 작가의 개인 공간인 ‘광산문우’와 인접한 장계향 예절관, 유물전시관, 다용도실을 재단장한다는 것이다.
지난해 기본계획 수립과 타당성 조사, 작가와 협의를 끝냈으며 이달 중 설계와 시공을 일괄 발주하고 내년 3월에 개관할 계획이다.
작가의 도서와 친필 원고 등을 전시하는 문학전시관, 작품을 원작으로 한 영화 등을 보여주는 영상실 등을 만들고 집필실을 재현할 예정이다.
도와 영양군은 우리나라 첫 한글 조리 백과인 음식디미방을 집필한 장계향 선생 관련 사업으로 만든 예절관 등이 활용도가 떨어지자 문학관을 조성하는 데 활용하기로 했다.
경북도 관계자는 “문학관 조성을 최대한 빨리 마무리하겠다”며 “개관 후 운영은 영양군에서 맡을 예정이다”고 말했다.
한편 청송군은 2014년 6월 진보면 진안리 일대 부지 2만 4771㎡에 총 사업비 75억원을 건립한 객주문학관을 개관했다.
객주문학관은 한국 문단의 거목이자 청송이 낳은 대표적 작가 김주영의 대하소설 ‘객주’를 소재로 지어졌다.
문학관은 4640㎡ 규모의 3층 건물로 소설 ‘객주’를 한눈에 볼 수 있는 객주전시관을 비롯해 소설도서관과 기획전시실, 영상교육실, 창작스튜디오, 작가집필실, 연수시설, 카페, 창작관, 다용도관 등의 부대시설을 갖췄다.
영양 김상화 기자 shk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