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준희 관악구청장 인터뷰
“관악구의 핵심 자산인 서울대와 청년을 중심으로 창업 생태계를 구축한다면 충분히 혁신경제도시가 될 수 있습니다.”지난 7일 서울 관악구 구청장실에서 만난 박준희 구청장은 미국 스탠퍼드대학이 있는 실리콘밸리나 칭화대가 있는 중국 베이징의 중관춘처럼 관악구도 될 수 있다고 힘주어 말했다.
그는 “그동안은 서울대의 인적·물적·지적 자원을 지역 경제와 연계해 활용하지 못했지만 관악구도 창업 생태계를 구축한다면 무궁무진한 발전 가능성이 있다”며 “지역 청년들이 머물며 일하고 창업하는 도시를 만들어 갈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오세정 서울대 총장이 취임하면서 관악구와 서울대의 협업에 탄력이 붙었다. 박 구청장은 “오 총장이 취임한 이후 서울대와 실무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다양한 창업지원 프로그램을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다”며 “서울대가 구글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한국마이크로소프트(MS)와 인공지능(AI) 분야 상호연구 협약을 맺는 등 글로벌 기업과 협력 관계도 강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지난해 관악구는 서울대와 함께 서울시 대학캠퍼스타운 종합형 사업에 선정됐다. 박 구청장은 “대학캠퍼스타운 사업 선정은 창업 밸리 조성에 새 성장 동력을 찾은 것과 같다”며 “지원되는 시비 100억원 이외 해당 사업 활성화를 위해 관악구는 55억원, 서울대는 105억원의 재원을 올해 추가 투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박 구청장은 “창업에만 머무르지 않고 주거, 문화, 지역 상권 등 다양한 분야에서 대학과 지역이 상생하고 공동체를 이뤄 지역 경제가 활성화되는 모델을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윤수경 기자 yoon@seoul.co.kr
2020-05-13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