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거리두기·역학조사는 3년내 개발
개인정보 보호 방법 등은 추가 제안 계획
코로나19 브리핑하는 정은경 본부장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질병관리본부장)이 8일 오후 충북 청주시 질병관리본부에서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및 확진 환자 중간조사 결과 등 정례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0.6.8 연합뉴스 |
보건복지부와 산업통상자원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식품의약품안전처 등은 11일 제6차 비상경제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K방역 모델 국제 표준화를 위한 로드맵을 확정했다고 발표했다. 정부는 검사·확진→역학·추적→격리·치료로 이어지는 이른바 ‘3T’를 K방역 모델로 체계화한 18종의 국제 표준안을 국제표준화기구(ISO) 등에 제안할 방침이다.
검사·확진 단계에서는 진단 시약과 장비, 검사기법, 자동차 및 도보 이동형 선별진료소 운영 시스템 등 6종에 대해 국제 표준을 추진한다. 역학·추적 단계에서는 자가격리자를 효과적으로 추적·관리하기 위한 모바일앱과 전자의무기록, 역학조사 지원 시스템 등 4종을, 격리·치료 단계에서는 생활치료센터 운영과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 등 8종을 국제 표준으로 제안할 계획이다.
정부는 우선 유전자 증폭 기반 진단 기법과 자동차·도보 이동형 선별진료소 등에 대해 올해 안에 국제 표준화를 추진하고, 사회적 거리두기 운영 지침이나 역학조사 지원 시스템 등 표준안 개발과 추가 연구가 필요한 분야는 내년과 내후년까지 표준안을 개발해 제안하기로 했다. 이 밖에 이번 로드맵에는 포함되지 않았지만 개인정보 보호 방법 및 절차와 음압병실, 감염병 환자 이송 지침 등도 추가로 국제 표준으로 제안할 계획이다.
아울러 제3차 추가경정예산안 등으로 추진할 계획인 감염병 방역 관련 연구개발 결과물을 표준화해 바이오산업 혁신 역량을 강화하는 작업도 병행할 예정이다.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2020-06-12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