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 2부제에 온라인 성묘까지 새로운 모습 선보일 듯
사진01-매년 민족 최대의 명절 추석에 흩어져 있던 가족들이 모여 조상을 추모하는 성묘지만 올해는 코로나19 사태로 이런 모습을 보기 쉽지 않을 전망이다. 사진은 고양시 용미리 시립묘지를 찾은 성묘객들 모습(자료사진). 서울신문 DB |
19일 각 시에 따르면 지역에 11만구가 넘는 봉안, 매장 시설을 갖춘 고양시는 묘지·봉안시설에 차량 2부제를 전격 시행한다.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성묘객을 분산하자는 취지다. 고양시 지역 내 장사시설은 대규모 묘지 14개소와 봉안당 9개소 등 총 23개소다. 봉안당에는 10만 7000여구가 봉안돼 있고 공설·공동·사설 묘지 14개소에는 총 1만구가 매장돼 있다. 이를 감안하면 4인 가족 기준 성묘객의 수는 30%(3만 3000천구)만 잡아도 최소 10만여명은 훨씬 넘을 것으로 추산된다. 이에 시는 대규모 추모객이 집중되는 추석명절 성묘객을 분산해 집단감영 발생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할 계획이다. 차량 2부제 외에도 방문객 사전예약 의무제, 1일 총량 예약제, 온라인 성묘시스템을 운영한다.
|
추석을 앞두고 미리 성묘를 하기 위해 인천 한 공원묘지를 찾은 인파와 붐비는 차량(자료사진). 서울신문 DB |
의왕시는 코로나19 방지를 위해 이번 명절 연휴기간인 오는 30일부터 다음달 4일까지 공원묘지인 의왕하늘쉼터를 전면 폐쇄한다. 대신 e 하늘 장사정보시스템을 통해 온라인 성묘 신청을 받는다. 고인 안치사진 신청과 차례상, 헌화, 추모의 글 등 기능을 이용해 가족, 지인과 공유할 수 있는 온라인 성묘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는 의왕시 방역 당국이 최대 명절인 추석 성묘를 제안하는 것은 성묘객이 한꺼번에 몰리는 연휴기간이 방역의 중대한 고비가 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기 때문이다. 코로나19 사태로 각 지지체가 올 추석 성묘를 최대한 제한면서 여태껏 보지 못했던 새로운 명절 모습을 경험하게 될 전망이다.
남상인 기자 sangin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