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가구·나홀로 어르신 많은 1㎞ 구간
“가장 어두운 지역을 가장 밝은 거리로”
보건·복지·문화 시설 조성 테마공간으로
구천면로는 과거 한양 사대문에서 왕십리를 거쳐 경기도 광주를 잇던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길이다. 이 구청장은 ‘구천면로 걷고 싶은 거리’ 조성 사업을 통해 강동구의 구정 목표인 ‘더불어 행복한 강동’을 실현하겠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이 구청장은 “가장 어둡고 오래된 거리를, 가장 밝고 따뜻한 거리로 만들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구천면로는 광진구 광장동에서 강동구 강일동까지 이어진다. 구천면로 걷고 싶은 거리 조성사업은 5호선 명일역에서 천호초교 사거리까지 약 1㎞ 구간이 대상이다. 이곳에 들어서면 구천면로와 접하는 올림픽로, 양재대로 혹은 인근의 천호대로와는 사뭇 다른 풍경이 이어진다. 편도 1차로로, 서울에 몇 남지 않은 구도심의 도로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차도뿐만 아니라 인도도 비좁아 걷다 보면 건너편에서 오는 사람과 마주치면 잠시 자리를 양보해 줘야 할 때도 있다.
강동구는 구민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이 구청장을 포함한 경관사업추진협의체를 구성했다. 구청장과 주민들이 심도 있는 토론을 함으로써 주민들의 의견이 기본 계획에 반영됐다. 사업구간과 인접한 암사1동, 천호1동에서 각각 사업설명회를 열어 다양한 주민이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8월부터 구체적인 추진계획을 수립했으며,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사업에 착수한다.
우선 지역 특성에 맞는 콘텐츠를 담은 문화예술의 거리로 조성할 방침이다. 주민 삶의 짊을 높이고 거리에 수많은 사람이 찾아들 수 있도록 만든다. 특히 다른 지역보다 열악한 보건, 복지, 문화 복합시설을 조성한다. 빈 점포를 빌려 공유주방, 북카페, 지역브랜드 판매상점 등 구간별로 테마 공간을 조성한다. 방치된 공원은 재정비하고 쉼터를 조성해 주민들이 자유롭게 소통하고 만날 수 있는 장소로 만든다. 이 밖에도 낡은 보도를 교체하고, 전신주 지중화 작업을 펼친다. 버스 정류장이나 노후한 상가의 디자인도 개선한다. 이 구청장은 “강동형 도시재생을 통해 구천면로를 따뜻하고 걷고 싶은 문화의 길로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며 “임기 내에 프로젝트를 성공시키는 게 목표”라고 강조했다.
2020-10-19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