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의회 제공 |
안기권 의원은 “청년들은 임대차기간 만료 후 쫓겨날까 불안해하는 이유보다도 주택임차료 및 대출금 상환 부담이 더욱 크다”며 “청년가구 중 72.5%가 내 집 마련의 필요성에 절실하고 이 중 89.5%는 주거 안전 차원에서 주거공간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1인 청년가구는 주거비 지출 이후 가처분소득이 적기 때문에 연애 조차 부담스럽게 느끼는 것으로 보이며, 현 주거비 부담이 지속된다면 향후 내 집 마련을 미루거나 포기할 가능성이 클 것”이라며 우려를 표했다.
이런 문제와 관련, 안 의원은 “2025년까지 우리나라 전체 임대가구의 25%를 공공임대주택으로 추진할 예정인데, 공공임대주택에도 과감한 예산을 투입하여 민간주택 못지않은 자재를 사용하는 등 주택의 질을 개선하려는 노력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청년의 주거안정과 주거수준 향상을 위하여 경기도가 다양한 방안을 마련하여 적극 해결에 나서줄 것을 촉구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